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시범사업 시행 70일 만에 누적판매 100만장을 기록했으며, 평일 하루 평균 이용자는 54만명에 달한다고 29일 밝혔다.
이에 시는 시범사업 과정에서 쌓은 노하우와 시민 요청사항을 반영해 7월부터 1일권, 2일권, 3일권, 5일권, 7일권 등 총 5종의 단기권을 출시한다.
또한 일반권 대비 12% 저렴한 가격에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청년할인’도 편리해진다. 시범사업 기간 동안에는 일반권으로 이용하다가 향후 차감액을 돌려받아야 해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사업기간이 되면서 바로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공정한 사용을 위해 6개월마다 본인인증을 해야 하고, 실물카드 이용자는 사전에 티머니 카드·페이 누리집에 등록한 카드의 경우에만 할인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시는 카카오맵과 연계한 이용 가능 경로 검색 서비스를 비롯해 애플 아이폰에서도 모바일 기후동행카드를 쓸 수 있도록 협의를 이어가는 등 민간과의 협력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승용차 운행 감소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서울연구원의 심층조사에서 유효응답자의 37.6%인 719명이 월평균 승용차 이용을 약 11.8회 줄였다고 답변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4개월간 약 9270톤이 감축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20년생 가로수 약 110만 그루를 식재한 것과 같은 효과인 것으로 전해졌다.
오세훈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시범 기간 동안 기후와 교통복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며 효과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시민이 대중교통의 편리함을 체감해 스스로 승용차 이용을 줄여나가는 자발적인 기후 동행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출시 초기 당시 오프라인 카드 대란이 일기도 했던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의 적극행정 최우수 사례로 뽑히기도 했다.
시는 지난달 적극행정위원회의 심의에서 시민 편의를 높이고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한 행정 7건을 선정했다.
시 관계자는 당시 “공무원이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는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창의·전문성을 바탕으로 처리한 업무를 ‘적극행정’으로 정의하고 매년 상·하반기 심사한다”며 “기후동행카드는 시민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기후위기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대중교통 정책”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