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K-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가 2035년에는 북미 총 리튬이온배터리(LIB) 생산능력의 58%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는 최근 '2024 글로벌 LIB 라인 신설 및 증설 전망' 보고서를 내고 2035년까지 전 세계 LIB 생산능력이 5695GWh 규모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리튬이온배터리 생산능력이 올해부터 2035년까지 연평균 1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 각사·연합뉴스
△LG에너지솔루션(373220) △삼성SDI(006400) △SK온은 2035년까지 총 1159GWh의 생산능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했다. 3사의 대부분 생산 기지가 북미와 유럽에 위치할 예정으로 생산능력 전망치는 각각 628GWh, 305GWh에 달할 것으로 관측했다. 특히 2035년까지 북미 지역 내 생산능력은 한국 기업이 58%를 점유할 것으로 봤다.
2035년 지역별 생산능력 전망치를 살펴보면 △중국 3093GWh △북미 1084GWh △유럽 1174GWh로 나왔다.
중국은 공급과잉으로 인해 향후 상위 업체 위주로 배터리 산업이 재편성될 수 있으며, 2035년에 톱3 기업(CATL·BYD·CALB)이 전체 중국 업체 생산능력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LIB 제조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로 인해 공급 과잉이 발생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의 성장 폭이 둔화하고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이상적인 수급을 형성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