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뉴스투데이 유은주 기자] 내년도 주요 R&D 예산이 AI 반도체, 첨단바이오, 양자 과학 등에 약 24.8조원 규모로 배분돼 지난해 대비 13.2% 증액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마련하고 27일에 개최된 제9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확정했다.
내년도 주요 R&D 예산은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한 24.8조원 규모로, 이달 말까지 검토된 24.5조원과 정부안 편성 완료 시까지 개편해 조정·반영될 규모가 포함된 수치다. 지난해 21.9조원에서 2.9조원이 늘어나며 13.2% 증가했다.
선도형R&D로의 포트폴리오 재편에 중점을 뒀다. 최초·최고에 도전하는 혁신도전형R&D, 국가의 혁신을 견인할 게임체인저 기술, 글로벌 최고 수준의 공동연구 등 선도형전략적 투자를 적극 확대했다
우선 3대 게임체인저는 AI R&D 1.1조원을 포함, 3.4조원 규모로 집중 투자해 가치사슬 내 대체 불가능한 기술 선점을 목표로 한다.
AI 반도체 분야는 차세대 범용인공지능, 안전 기술 등 현재 빅테크 주도의 AI 생태계 한계를 극복하고 판도를 뒤바꿀 차세대 AI에 집중 투자한다. 아울러 그간 정부 R&D를 통해 가능성을 보여준 AI 반도체에 투자를 확대한다.
첨단바이오는 반도체를 이어갈 초거대 미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디지털 바이오 육성기반과 바이오 제조 핵심기술을 강화하고 필수·지역의료 등 보건의료 현안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도 지원한다.
양자기술 분야는 산업화 기반 마련을 위한 전략적 투자에 집중한다. 국내 연구생태계의 내실을 다지고 글로벌 협력 기반은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양자 핵심기술 확보에도 투자를 확대해 선도국과 기술격차 해소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혁신·도전형R&D에 1조원을 투자해 선도·도전의식을 전파한다. 혁신·도전형R&D 분야에 약 1조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10% 개선이 아닌 10배 퀀텀 점프를 목표로 하는 연구, 현존하지 않는 신개념 기술을 개척하는 연구에 지원될 예정이다.
기초연구분야에도 전년 대비 11.6% 증액한 2.94조원을 투자한다. 역대 최대 금액이다. 도약 연구를 신설해 우수 성과자의 후속 연구를 지원하고, 개척연구를 통해 태동하는 분야의 과감한 연구를 하도록 했다. 국가 아젠다와 지역 혁신에 기여하는 연구 트랙을 마련하고 새로운 이론 연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창의연구도 확대했다.
초격차를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분야엔 2.4조원이 투입된다. 이차전지 분야는 전고체, 리튬메탈 등 차세대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스플레이 분야는 OLED 초격차, iLED 투자를 확대한다. 반도체 분야는 첨단패키징 및 화합물반도체 등을, 차세대통신 분야는 6G 글로벌 주도권 선점과 위성통신 개발 등 영역 확장에 나선다.
우주 경제 실현과 미래 에너지 수요 대응에도 3.2조원을 쏟아붓는다. 우주 분야는 지난 5월 개청한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본격화한다. ‘2032 달 착륙, 2045 화성 도달’을 위한 탐사, 차세대 발사체 역량 확보를 추진, 민간 전용 발사장 등 인프라 구축, 우주기술·부품 국산화 등 자생적 생태계 조성을 지원한다.
미래 에너지 수요 대응을 위해선 민관 협력을 통해, 혁신형 소형원자로 등 차세대원자로 원천기술, 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 생산·공급·활용 기술, 주력산업의 공정혁신과 글로벌 탄소 규제 대응에 나선다.
그밖에도 혁신이 선순환하는 기업 성장 사다리 구축,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과학기술 투자 확대, K-9 자주포, 천궁 등 방산 수출 무기체계 경쟁력을 제고하고 민·군간, 부처 간 협력도 강화한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선도형R&D로의 전환은 우리나라가 기술패권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이자, 혁신과 정체의 기로에서 한단계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시스템 개혁과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를 통해 선도형R&D 체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혁신의 길을 여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