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로 인한 불편함, 설하면역치료로 개선할 수 있을까"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알레르기로 인한 불편함, 설하면역치료로 개선할 수 있을까"

베이비뉴스 2024-06-14 11:29:01 신고

【베이비뉴스 전아름 기자】

알레르기는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털과 같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 즉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신체의 지나친 면역반응으로 인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사람에 따라 구체적인 증상은 다르지만 크게 지속적인 재채기와 콧물, 코막힘, 피부 두드러기, 결막염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평소에는 아무 증상이 없다가도 항원에 접촉하면 갑자기 이러한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고 최악의 경우, 아나필락시스 쇼크 등의 생겨 생명이 위태로워질 수도 있다. 

따라서 알레르기 질환을 방치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알레르기 증상 자체를 치료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가급적 알레르기 반응을 줄이기 위해 면역반응을 약화시키는 방향의 치료도 필요하다. 설하면역치료는 항원 추출물을 설하, 즉 혀의 밑 부분에 지속적으로 장기간 투여하여 과도한 면역반응을 줄여가는 방식이다. 집먼지 진드기 등에 의한 알레르기 비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움말=정영훈 서초성모이비인후과 원장. ⓒ서초성모이비인후과 도움말=정영훈 서초성모이비인후과 원장. ⓒ서초성모이비인후과

설하면역치료 외에도 피하면역치료라는 방식의 치료도 있다. 이는 항원을 피부 아래에 주사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장기간 진행해야 하는 알레르기 면역치료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주사를 맞는 데에 거부감을 느끼는 환자가 많으며 특히 어린 연령의 환자들에게는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또한 설하면역치료보다 부작용이 생길 위험성이 높아 설하면역치료에 비하면 인기가 낮은 편이다. 

설하면역치료는 3~5년, 때로는 그 이상의 긴 기간 동안 특정 항원을 경구 투여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치료를 오래 할수록 증상이 호전되어 유지되는 기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시행해야 한다. 제대로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치료해왔다면 치료를 중단한 후에도 오랜 시간 치료 효과가 이어져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알레르기에 대한 면역치료는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까? 여러 연구에 따르면 알레르기 질환은 어릴 때 치료할수록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알레르기 행진 현상을 고려하면 보다 어릴 때부터 면역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알레르기 행진이란 하나의 알레르기 질환이 성장에 따라 다른 알레르기 질환으로 이행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소아 시기 식품 알레르기가 있던 환자가 청소년기, 성인기로 성장하면서 비염이나 천식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을 앓게 되는 경우가 있다. 어릴 때 알레르기를 진단하여 적극적으로 치료하면 이러한 문제를 조기에 해결할 수 있다. 

강남 서초성모이비인후과 정영훈 원장은 “설하면역치료는 면역 반응을 감소시켜 면역 관용을 유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치료 효과가 우수하다면 완치까지 기대할 수 있다.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근본적인 치료법이므로 수시로 재발한 알레르기로 고생하는 성인은 물론 아이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된다. 다만 드물게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알레르기 면역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경험이 많은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안전하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sⓒ베이비뉴스 pr@ibabynews.com】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