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적 최근 소실된 청기와 건물 ‘창덕궁 경훈각’
보기드문 2층 전각에 초호화 청기와를 올림
구한말 화재로 소실
창덕궁 비원과 어우러진 경훈각의 인공지능 복원
상상도 (창덕궁 청기와 2층 전각 경훈각 상상 복원도)
경훈각을 상상 복원한 인공지능 프로그램
(창덕궁 경복궁의 건축 양식과 청기와와 금박 장식을 학습시킨 결과)
조선 전기에 대부분 주요 전각이 청기와였다는군..
흥선대원군이 청기와로 재건하려 했는데
청기와 한 장당 지금 돈으로 30만원 가량 돼서
포기했다네..
”청기와가 상상속의 산물이다.“
“일부 부분만 포인트로 썼을 것“
라고 학계의 의견이 있었는데
이번 경복궁 자미당 발굴 현장에서
대규모 청기와 출토가 되면서..
조선 전기 경복궁이 청기와라는게 확인됨..
(경회루 근정전 이런것들이 전부..
터콰이즈 블루 색상의 지붕이었다는것..)
자미당 지하땅 파보면 아래 사진처럼
마치 터키석 광산을 연상하게 할 정도임..ㄷㄷ
만약 나머지 경복궁 전각들이 청기와로 복원된다면..
상당히 화려할 것임..
특히 청기와는 중국에서 발견되지 않는 유적이라는
점에서 독창적인 고려-조선전기 양식이라 할 수 있겠음.
인공지능 컴퓨터로 복원한
조선 전기 청기와와
부분적 금박 장식의
지붕 상상 복원도
조선 후기 흥선 대원군 (고종의 아버지)이
청기와 복원을 추진하면서
기술자들이 제시한 청기와 한 장 금액은
8냥이었다고 하네
(당시 소 한마리당 20장 구워낼 수준)
(청기와 가격 관련 자료:
)
단청이 조금더 돋보이는 터콰이즈 블루 색상의 청기와 장식
터콰이즈 블루 색상의 기와와
금색이 어우러진 지붕이 복원된다면..
한국 고유의 건축 양식으로 될 가능성 예상된다.
일부에선 이국적 색상이 중국 같다고 하지만
중국에선 출토되는 청기와 양식이 없다는군
(명나라가 썼다고는 하지만.. 구체적 현존하는
역사 유적은 없는듯..)
한국은 단 하나 : 창덕궁 선정전과
각종 회화 그리고 최근 발견된
경복궁 자미당 청기와로 인해
한국의 심볼적 동양 건축 양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게됨..
인공지능 컴퓨터로 복원한
조선 전기의 경복궁의 예상 상상도
(청기와와 금박 세부 장식 등..)
궁중 숭불도 아래 그림은 조선 전기 궁궐을 묘사한 그림이라 하는데 일부 전각이 청기와로 돼있는걸 확인함
•궁중 숭불도 • 석가 출가도의 경우
조선 전기 경복궁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자료라고 주장돼왔으나 실체가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번 경복궁 자미당 지하에서 발견된
대규모 터키석 색상의 청기와
발굴로
경복궁의 주요 전각들이 청기와로 된게
확인됨..
창덕궁에 있었던 2층 청기와 건물 (동궐도)
아래는 최근 호암 미술관에서
전시중인 석가 출가도 (조선 전기 경복궁을 묘사했다고함.. 자세히 보면 전각별로 청기와의 종류가 다양하고(터콰이즈블루색 • 울트라마린 블루) , 금박인지 금 으로 토용등 디테일한 금 장식이 있음)
[석가 출가도 15세기 조선 ]
쾰른에서 발견된 해당 회화는 조선 전기의 것으로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조선 전기 경복궁의 모습이다’ 주장돼왔지만
상상의 산물이다 라고 (욕먹기도…)
그러나 최근
경복궁 지하에서 대규모 청기와 유적이
발견되면서 증명되기 시작 중..
이미지 자료: 유튜브 링크 하단 첨부함
**
6월 16일 까지
호암 미술관에서 석가 출가도
공개한다고 하니.. 관심있으면 꼭 가보시길..
**
마치 터키석 광산을 방불케하는
경복궁 자미당 복원 현장 ( 도시 미관 갤러리
경복궁
경복궁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궁궐로, 서울에 위치해 있습니다. 1395년에 건립된 이 궁궐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역사적 장소입니다. 경복궁은 조선 왕조의 정치, 경제, 사회의 중심지로 오랜 기간 동안 기능해 왔습니다.
청기와
청기와는 전통적인 한국 건축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푸른색의 기와입니다. 청기와는 주로 궁궐, 사찰, 고급 주택 등 중요한 건물의 지붕에 사용되었습니다. 청기와는 그 아름다움과 내구성으로 인해 한국 전통 건축의 상징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대거 출토
대거 출토는 많은 양의 유물이 한꺼번에 발견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최근 경복궁에서 청기와가 대거 출토되어 학계와 일반 대중의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견은 한국의 역사적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경복궁의 역사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Copyright ⓒ 시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