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대기업 29.4%만 60세↑ 고용…임금체계 개선 선행돼야"

대한상의 "대기업 29.4%만 60세↑ 고용…임금체계 개선 선행돼야"

브릿지경제 2024-05-19 12:00:00 신고

3줄요약
(자료= 대한상의)

 

국내 대기업 중 60세 이상 인력을 고용하는 기업은 10곳 중 3곳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3곳 가운데서도 정규직 고용은 1곳 뿐이었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9일 300인 이상 대기업 255개사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기업의 중고령 인력 운영 실태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력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29.4%에 불과했고, 이 중 10.2%만이 정규직으로 계속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기업들이 60세 이상 인력을 고용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다.

지난해 전문조사업체인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 등이 전국 18세 이상 10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에서는 ‘현재 만 60세인 근로자의 법정정년을 단계적으로 만 65세까지 연장하는 것에 ‘찬성한다’(84%)는 의견이 ‘반대한다’(13%)에 비해 크게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만 55세 이상 중고령 인력을 바라보는 시각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78.4%가 중고령 인력의 근무의욕과 태도가 기존에 비해 낮아졌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기존에 비해 매우 낮아짐’ 49.4%, ‘다소 낮아짐’ 29.0%였다. 반면 기존과 동일하거나 더 나아졌다고 응답한 기업은 각각 21.2% · 0.4%에 그쳤다.

또한 기업의 74.9%는 중고령 인력 관리에 있어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로사항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 중 37.6%가 ‘높은 인건비 부담’을 꼽았다. 이어 ‘업무성과 및 효율성 저하’(23.5%), ‘신규채용 규모 축소’(22.4%), ‘퇴직지연에 따른 인사적체’(16.5%), ‘건강 및 안전관리 부담’(15.3%) 등 순이었다.

중고령 인력을 대상으로 효율적 관리·조치를 취했거나 검토 중인 기업은 61.2%로 나타났다. 검토나 조치사항으로는 ‘임금피크제 등 임금체계 개편’(33.9%)이 가장 많았고 이어 ‘중고령 인력 적합업무 개발’(19.2%), ‘중고령 건강관리 및 근무환경 개선’(12.2%) 등의 순이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연공중심적 인사관리제도와 기업문화가 여전하고 중고령 인력의 근로조건 조정, 전환배치를 위한 노조와의 합의가 필수적으로 작용해 중고령인력 관리체계가 구축되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시간이 지날수록 중고령 인력의 고용 및 관리에 대한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어 이에 대비한 적합한 작업환경과 관리체계 구축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대기업 절반이상이 인사적체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적체 설문에 응답기업 중 53.7%가 ‘현재 승진지연 등 인사적체를 겪고 있다’고 답했으며, 해당기업들은 원인으로 ‘사업 및 조직 성장 정체’(40.1%), ‘직무가 아닌 연공 중심의 인력 관리’(30.7%), ‘정년 60세 의무화로 인한 장기 근속화’(27.7%) 등을 꼽았다.

응답기업들은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력효율화를 위한 전환배치’(25.9%), ‘직급제도 폐지 또는 개편’(18.4%), ‘연공성 보상 감소 및 업적 성과 보상 확대’(17.3%), ‘희망퇴직 등 특별퇴직제도 도입’(13.7%) 등의 조치를 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일호 대한상의 고용노동정책팀장은 “최근 연금개혁 시 연금수령연령에 맞춰 60세 이상 고용을 연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대기업 내 고령인력 인사제도나 문화가 자리 잡지 못한 상황에서의 고용연장은 양질의 일자리를 두고 세대 간 갈등을 부추길 수 있다”며 “고용연장을 위한 직무성과중심의 임금체계로 개편과 근로조건의 유연성을 높이는 제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자료= 대한상의)


박철중 기자 cjpark@viva100.com

Copyright ⓒ 브릿지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