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타임즈=김지호 기자] 미국의 상장지수펀드(ETF) 운용사 앰플리파이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을 신흥국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대해 "모욕적(offensive)"이라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크리스티안 마군 앰플리파이 최고경영자(CEO)는 7일 파트너사인 삼성자산운용과 함께 한국거래소 여의도 사옥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현상)이 존재하냐'는 질문에 "MSCI 인사가 최근 방한해 한국의 산업과 기반시설, 삼성 등 월드 클래스 브랜드를 본적이 있냐"며 이같이 지적했다.
마군 CEO는 "MSCI가 한국은 신흥국으로 뷴류한 것은 근시적안적이고 정확하지 않다"며 "전세계 투자자들은 정치적이나 다른 의도가 있는 제3자 평가기관에 의존할 게 아니라 해당 국가를 정확히 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증시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으며 어떤 디스카운트도 있으면 안 된다고 믿는다"며 "이스라엘 주식과 마찬가지로 한국 주식도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일부 미국이나 글로벌 투자자가 불편함을 느끼고 있지만, 두 나라는 모두 다양한 분야 기술 혁신의 리더로 이 같은 디스카운트가 정당화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날 마군 CEO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구글, 아마존, 메타, 테슬라를 포함한 일명 M7(Magnificent7)의 분기별 전년대비 주당순이익(EPS) 성장률이 2023년 4분기 정점(63%)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면서 다만, IT나 통신 등 기술섹터의 성과는 양호하고 향후에도 성장이 예상되는 만큼, M7 주식에 대한 쏠림 투자는 지양하고, 기술주식을 분산 투자하는 전략이 더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역사적으로 보면 금리가 엄청나게 높은 상황이 아니고 더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지연될 것으로 보이고, 금리 인하 추세도 완만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금리 상태가 상당기간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예상했다.
또 "잉여현금흐름이 우수한 회사들은 고금리 기조 장기화에도 꾸준한 배당을 지급하면서 안정적인 주가 흐름을 기대할 수 있다"며 "이러한 고배당 주식들로 구성된 ETF로 불확실한 시장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와 더불어 그는 미국 대선이 있는 해의 주가 움직임을 역사적으로 분석해 보면 주식시장의 경우 상승세를 기록한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았다는 점에서 주식에 대한 관심을 유지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대선이 있는 해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의 경우 주가가 상승한 경우가 83%로 비율이 제일 높았고, 나스닥이 77%, 다우존스산업평균이 74%로 뒤를 이었다"며 "대선이 있는 해의 주가 평균 상승률은 S&P500 11.6%, 나스닥 9.3%, 다우존스산업평균 9.1%를 기록했다"고 언급했다.
Copyright ⓒ 아시아타임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