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64세 생산가능인구, 20년 후 노동인구 1천만명 감소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15~64세 생산가능인구, 20년 후 노동인구 1천만명 감소

코리아이글뉴스 2024-05-06 11:40:42 신고

3줄요약

저출생 영향으로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가 20년 후엔 약 1000만 명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2024 인구보고서: 인구소멸 위기, 그 해법을 찾아서'를 출간했다고 6일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는 2023년 3657만 명에서 2044년엔 2717만 명으로 감소한다. 전체 인구의 경우 2023년 5171만 명에서 약 40년 후인 2065년에는 4000만 명이 무너져 3969만 명으로 줄어든다.

저출생의 여파는 사회 곳곳에 영향을 주는데, 이 보고서에서 초등학생 입학생 수는 2023년 약 43만 명에서 2033년엔 약 22만 명으로 줄고 병력 자원도 2023년 약 26만 명에서 2038년 약 19만 명으로 감소한다.

반면 2050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역사상 최대 규모인 1891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게 된다. 2060년 사망자 수는 74만6000명으로 출생아(15만6000명)의 4.8배가 된다. 이에 따라 인구는 59만명이 자연 감소하게 된다.

전국 228개 지자체 전체가 2047년이 되면 소멸 위험지역으로 진입하고 2049년에는 혼자 생활하는 65세 이상 1인 가구가 266만 가구 증가하며 전체 가구에서 20%를 차지한다. 5가구 중 1가구는 독거노인 가구다.

2050년 전국적으로 300만 호 이상의 빈집이 발생하면서 10채 중 1채가 빈집이 된다. 같은 해 65세 이상 고령자가 역사상 최대 규모인 1891만 명을 기록하며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게 된다.

계봉오 국민대 교수는 "혼인율과 유배우 출산율의 상승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이 기본적인 정책 방향이겠지만 전통적인 가족 가치관 복원을 통해서 출산율 반등을 시도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인구감소로 인한 재앙은 대한민국의 존립이 달린 사안"이라며 "인구회복의 골든타임이 지나가면 우리 사회가 다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가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코리아이글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