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서운 '양배추 값' 수입산 할당관세 적용… "5월 말 안정"

무서운 '양배추 값' 수입산 할당관세 적용… "5월 말 안정"

머니S 2024-04-27 09:44:39 신고

3줄요약

정부가 수입산 양배추에 할당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정부가 수입산 양배추에 할당관세를 적용할 방침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작황 부진으로 양배추 가격이 고공행진하자 정부는 수입산 양배추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다음 달 중 수입산 양배추 관세 인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도입 절차를 추진한다. 국내산 가격이 급등하며 수입량이 증가하자 할당관세를 적용해 물가안정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달 28일부터 양배추 ㎏당 2500원의 납품단가를 지원한 바 있다. 지원 초기 ㎏당 500원이었던 납품단가는 소매가 상승이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자 지난 13일부터는 ㎏당 1000원, 이달 25일부터는 2500원을 지원한 바 있다.

이같은 납품단가 지원에도 소매가는 계속해서 오르고 있다. 지난 26일 기준 양배추 소매가는 포기당 6089원으로 전년(3922원)보다 55.25%, 평년(3744원) 대비 62.63% 상승했다. 이달 초(5409원)보다도 12.5% 올랐다. 도매가는 8㎏당 2만120원으로 전년보다 113.5%, 평년 대비 14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양배추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요인은 겨울 양배추의 작황이 크게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제주와 전남지역은 3월 잦은 강우와 4월 높은 기온으로 작황이 부진해 겨울 양배추 생산량이 전년보다 11.2% 줄어든 17만 톤을 기록했다.

품위가 낮은 양배추도 잇따라 생산되며 공급량은 25% 이상 감소했다. 제주산 양배추 수확이 종료된 데다 저장품의 품위가 좋지 않다는 점도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납품단가 지원에도 물가가 안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정부는 전년보다 거래가 30배 늘어난 수입산 양배추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지난달 양배추 수입량은 657톤으로 전년보다 171% 증가했다. 가락시장 거래실적은 전년보다 30배 이상 늘어난 574톤을 기록했다.

양배추의 높은 가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농업관측센터는 4~5월 양배추 출하량이 지난해와 비교해 각각 23.7%, 8.4%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농식품부는 노지 양배추가 출하되는 오는 5월 말 이후에서야 안정세로 접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양배추 외에도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배추, 당근, 포도, 마른김 등 농산물에도 신규로 할당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 세계적으로 굴곡 있는 물가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농축수산물 물가가 아직 전년 대비 높은 수준"이라며 "전 부처가 물가 안정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2%대 물가 조기 안착을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지금 쿠팡 방문하고
2시간동안 광고 제거하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