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Bloomberg)에 따르면, ECB 인사들은 지난주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춘계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첫 금리 인하를 6월 중으로 단행해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회의에는 ECB 통화 정책회의 멤버 26명 중 4명만 불참했다.
특히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는 차입비용이 “합리적으로 단기간에( in reasonably short order)” 낮아질 것이며 이후 상황은 경제지표에 좌우될 것이라는 기존 공식 입장을 고수했다.
다른 ECB 인사들도 6월 금리 인하와 관련해서 긍정적으로 해석하면서도 확신 수준에서는 의견이 엇갈린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 금리 인하 반대를 줄곧 주장해온 로베르트 홀츠만 오스트리아 중앙은행 총재는 “완전히 확신하지는 않지만, 그 방향으로 기울고 있다( not fully convinced, though is leaning in that direction)”고 전언했다.
이어 요아힘 나겔 독일 중앙은행 분데스방크 총재와 보스트얀 바슬 슬로베니아 중앙은행 총재는 “그러한 조치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rising likelihood of such a step)”고 전망했다.
올리 렌 핀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기대에 따라 발전하게 되면 “때가 무르익을 것(the time will be ripe)”이라고 전했으며 페터 카지미르 슬로바키아 중앙은행 총재도 (금리 인하의) 문이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파비오 파네타 이탈리아 중앙은행 총재도 “6월에는 어떤 소식이 있을 것( June could bring some news)”이라며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다만 이들은 향후 금리 인상 폭이나 속도와 관련해서는 이견을 견지했다.
마르틴스 카작스 라트비아 중앙은행 총재 등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too early to declare victory)며 수요억제를 해소하는 차원에서 차입비용을 서둘러 낮출 필요는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마디스 뮐러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총재도 6월 첫 금리 인하 이후 ECB가 추가 금리 인하를 서둘러서는 안 된다( mustn’t rush)고 강조했다.
이와 달리 보다 매파적 성격의 인사들은 강경한 대응을 촉구했다.
게디미나스 심쿠스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총재는 올해 3차례, 야니스 스투르나라스 그리스 중앙은행 총재는 4차례 금리 인하를 원한다고 말했다.
심지어 에드워드 시클루나 몰타 중앙은행 총재는 인플레이션 예측이 2% 이하로 떨어지면 지체 없이 0.5%씩 금리인하를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가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로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각기 다른 의견을 논지했다.
홀츠만 총재는 연준이 올해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경우, ECB가 “너무 멀리 갈 수 있다( too far away)”고 확신하지 않으며 3~4차례 금리 인하에 주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바슬 총재도 ECB가 미국의 상황을 완전히 무시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나겔 총재와 클라스 노트 네덜란드 중앙은행 총재는 글로벌 맥락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하지만 궁극적으로 자체 전망에 근거해 결정한다고 말했으며 마리오 센테노 포르투갈 중앙은행 총재는 ECB가 “미국을 바라보고 있지 않다( isn’t looking at the US)”고 주장했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