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권용삼 기자]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LG전자가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기존 주력 사업인 생활가전과 신성장 동력인 전장 사업의 선전에 힘입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5일 LG전자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21조959억원, 영업이익 1조3329억원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1.0% 감소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시장 경쟁 심화 영향에도 견조한 수익성을 이어갔다. 1분기 영업이익 기준, 지난 2020년 이후 5년 연속으로 1조원을 넘겼다. 전 세계 수억대 제품을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콘텐츠·서비스 사업이나 소비자직접판매(D2C) 등이 질적 성장을 견인하고 전사 영업이익 기여도를 높이고 있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아울러 이번 실적은 시장 컨센서스(증권가 평균 전망치)에 부합했다. 앞서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는 LG전자의 올해 1분기 실적 전망치로 매출 21조2507억원, 영업이익 1조2873억원을 예상한 바 있다.
LG전자는 이번 실적에 대해 "구독 등 새로운 사업방식의 도입이나 추가 성장기회가 큰 기업간거래(B2B) 사업 확대가 시장 수요회복 지연 등의 불확실성을 돌파하는 원동력이 됐다"며 "제품 관점에서는 인공지능(AI), 에너지효율, 디자인 등 차별화 요소를 앞세워 프리미엄 시장에서 공고한 경쟁력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시장 수요 양극화에 대응하며 볼륨존 라인업의 제품·가격 커버리지를 강화하는 차별적 시장 전략을 펼치는 것도 주효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LG전자는 사업본부별 세부 실적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캐시카우에 해당하는 생활가전(H&A사업본부)은 1분기 출시한 의류관리기 '올 뉴 스타일러', 올인원 세탁건조기 '워시콤보', 일체형과 대용량의 장점을 두루 갖춘 세탁건조기 '워시타워' 등 프리미엄 신제품이 시장 호응을 얻으며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해외 시장의 지역별 특성과 수요 변화에 맞춰 라인업을 하방 전개하는 볼륨존 공략도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B2B에 해당하는 냉난방공조(HVAC), 빌트인, 부품솔루션 등의 확대도 꾸준히 이어지는 추세다.
전장(VS사업본부)은 그 동안 확보해 온 수주잔고가 점진적 매출 성장으로 이어지는 추세다. 수주잔고는 지난해 말 90조원대 중반에서 올 상반기 100조 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TV(HE사업본부)는 1분기 AI 성능을 대폭 강화한 2024년형 신제품 출시에 이어 웹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성장이 지속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즈니스솔루션(BS사업본부)은 온디바이스 AI를 구현한 'LG 그램' 신제품과 게이밍모니터 등 전략 제품을 앞세워 고객경험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 발표한 1분기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4년 1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각 사업본부별 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