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웨이 로고 (사진=연합뉴스) |
중국 최대 통신장비업체 화웨이가 미국의 수출 규제애도 불구하고 2배 이상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해 화웨이의 총수익은 870억 위안(16조1500억원 상당)으로, 2022년 356억 위안(6조6000억원)의 2배를 웃돌았다.
WSJ는 총액 측면에서 2021년 1137억 위안(21조1000억원)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증가율로 보면 2006년 이래로 가장 큰 폭의 성장이라고 설명했다.
전체 매출은 2022년 대비 9.6% 증가한 7042억 위안(130조 7500억원 상당)으로 집계됐다.
매출 약 70%는 중국에서 발생했으며, 미국 매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켄 후 화웨이 회장은 전날 “우리는 지난 몇 년 동안 많은 일을 겪었다”며 “하지만 연이은 도전을 통해 우리는 성장할 수 있었다”고 자평했다.
화웨이는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제재 영향으로 첨단 반도체 및 기타 기술에 대한 접근에 어려움을 겪었다.
후 회장은 ‘위기 극복’을 위해 취한 사업다각화 노력에 대해 강조하면서 “가전제품과 클라우드 컴퓨팅 제품 매출 증가가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미국 제재 5년이 지난 현재 기준 화웨이는 강력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자동차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사업 분야에 뛰어들었다.
또한 화웨이는 지난해 자체 개발한 칩으로 구동되는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를 출시해 미국 당국을 매우 놀라게 했다. 이 스마트폰은 첨단 반도체 생산 능력을 무력화하려는 미국의 지속적인 노력에도 ‘중국 첨단 기술 부활의 상징’을 나타내기도 했다.
지난해 화웨이는 전체 매출의 약 23%에 해당하는 230억 달러(31조원 상당)를 연구개발에 지출했다고 WSJ은 보도했다.
홍승해 기자 hae810@viva100.com
Copyright ⓒ 브릿지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