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생각 유경험률 14.7%...주된 이유에 ‘경제적 어려움’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자살생각 유경험률 14.7%...주된 이유에 ‘경제적 어려움’

데일리안 2024-03-28 12:01:00 신고

3줄요약

2023년 자살실태조사 결과 발표

2023년 자살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자살 관련 국민 인식을 조사하고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통계를 분석한 ‘2023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자살실태조사는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실시되고 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생 한 번이라도 자살생각을 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은 14.7%로 2018년(18.5%)에 비해 3.8%p 감소했다. 여성이 16.3%로 남성(13.1%)에 비해 높았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살생각의 주된 이유는 경제적 어려움(44.8%), 가정생활의 어려움(42.2%), 정서적 어려움(19.2%) 순으로 나타났다. 자살생각 유경험자 중 도움요청 경험이 있는 경우는 41.1%였고 전문가 상담경험이 있는 경우는 7.9%로 2018년(4.8%)에 비해 3.1%p 증가했다.

자살 보도 및 미디어의 자살 표현을 접한 자살생각 미경험자와 유경험자 모두 ‘자살이 사회적인 문제라고 느낌’에 응답한 비율은 각각 50.6%, 51.4%로 가장 높게 집계됐다.

자살생각 유경험자는 ‘기분이 우울해졌다’ ‘자살보도로 자살하는 사람이 늘어나지 않을까 하고 불안하게 느꼈다’ 등 부정적인 항목에 대한 응답비율이 미경험자에 비해 높았다.

국가의 제반 자살예방정책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80.9%로 높게 파악됐다. 이 중 ‘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 및 홍보’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84.7%로 가장 높았다.

또 자살생각 유경험자의 경우 ‘자살 유가족 지원’에 대한 응답 비율이 86.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정신건강 심리상담 강화(85.7%), 자살 고위험군지원 강화(85.5%) 순으로 응답했다.

‘의료기관 방문 자살시도자 통계’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에 참여하는 85개의 병원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3먼665명을 분석했다.

여성이 64.8%로 남성(35.2%)보다 약 1.8배 많았고 연령대는 19~29세 9008명(29.4%), 18세 이하 4280명(14.0%), 30~39세 4251명(13.9%)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자살시도 동기는 정신적인 문제(33.2%)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대인관계문제(17.0%),말다툼·싸움 등 야단맞음(7.9%), 경제적 문제6.6%) 순으로 높았다.

자살시도 방법은 음독(53.1%), 둔기·예기 (18.4%), 농약(5.3%), 가스중독(5.3%) 순으로 나타났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이번 자살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국민들의 자살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욕구를 자살예방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며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 및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2023년 12월) 등 차질 없는 이행으로 자살률 감소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