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결국 부동산이다. 총선이 15일 남은 상황에서 여당이 국회 세종시 완전 이전을 통한 여의도 및 서울 개발 적극 추진을 약속했다. 황상무-이종섭으로 이어진 참모 리스크에 '875원 대파'로 불붙은 정권 심판론을 잠재울 필살기를 꺼낸 셈이다.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7일 오전 직접 현안 관련 기자회견에 나서 이 같이 밝혔는데.
그는 "국회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으로 여의도 정치를 종식하고 국회의사당을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시민들께 돌려드리겠다"면서 "여의도와 그 주변 등 서울의 개발 제한을 풀어 서울의 개발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2021년 9월 세종시에 국회의사당 분원을 설치하는 내용의 국회법 일부법률개정안이 본회의를 통과한 바 있다. 그러나 세종의사당 건립에 필요한 이전규모와 대상기관, 운영방안 등을 담은 국회 규칙은 2년이나 지난 2023년 8월에야 국회 소위를 통과하며 겨우 숨통이 트였던 게 사실.
당시 본회의장, 국회의장실 등 핵심 시설과 국회운영위를 비롯한 6개 상임위를 서울에 남기기로 했지만 한 위원장의 이날 공언으로 국회 전체 이전을 둘러싼 새로운 공방이 차기 국회에서 전개될 전망이다.
한 위원장은 이날 회견에서 "4월10일은 여의도 정치를 끝내는 날, 미래 정치를 시작하는 날이 될 것"이라고 공언했다.
다만 지난 2월 '목련 피는 봄이 오면 김포는 서울이 될 것'이라던 약속이 어떻게 됐는지 따져볼 일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