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랑스가 세계 최초로 낙태 권리를 헌법에 명시하기로 하면서 '낙태권'이 글로벌 이슈로 떠올랐다. 이어 미국 대선에서도 여성의 낙태권이 쟁점으로 부상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9년 4월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이 나왔고, 국회에서 입법 개선이 되지 않아 법의 효력이 상실됐다.
사실상 임신 중단이 합법도 불법도 아닌 상태에서 국내 여성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임신 중지 경험이 있는 여성들은 정보 부족, 의료 기관 접근성, 의료 비용 등을 문제로 꼽았다. 모두의 안전한 임신 중지를 위한 권리보장 네트워크(모임넷)가 올해 초 발표한 ‘2021년 이후 임신 중지 경험 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온라인에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고 발표했다.
임신중지가 가능한 병원을 찾기도 어려웠다고 한다. 응답자들은 공식 정보가 없어 상담과 시술을 받을 수 있는 신뢰할 만한 병원을 찾기가 어려웠다고 했다. 임신 4주 차와 9주 차 여성 모두 수술비용으로 80만~100만원 사이를 지불하는 등 의료비 격차도 컸다. 상황이 이런 가운데 미국에서는 낙태 절차와 약, 병원 등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해주는 인공지능(AI) 챗봇이 관심을 끌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매체 패스트 컴퍼니 등 외신 보도에 따르면 가족계획연맹(Planned Parenthood) 전 회장인 세실 리차드(Cecile Richards)와 비영리 단체의 전 최고 전략 책임자인 톰 수박(Tom Subak)은 낙태를 원하는 사람들의 온라인 행동을 심층적으로 조사했고, 나아가 낙태와 관련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AI 챗봇 '찰리(Charley)'를 출시했다. 낙태 관련 진료소 정보를 제공하는 'INeedAnA'의 API가 접목됐다.
찰리의 전무이사 키아나 팁턴(Kiana Tipton)은 "현재 낙태에 관한 정보를 찾는 것은 일종의 보물찾기와 같다"라며 "가능한 빠르게 정보를 얻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가 검색을 수행하는 채팅 봇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챗봇은 낙태 절차 및 낙태 약, 전화 상담 가능한 진료소 등 의사결정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찰리 챗봇의 경우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다고 한다. 챗봇은 우편 번호와 마지막 생리 날짜만을 요청한다. 우편 번호는 진료소 위치 소개를 위한 정보로 활용된다. 해당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삭제한다는 것이 찰리 측의 설명이다. 현재까지 2만 5,000명이 넘는 여성들이 해당 챗봇을 이용했다고 한다.
국립 여성 건강 네트워크(National Women's Health Network)의 홍보 책임자인 아델 쉬버(Adele Schieber)는 "찰리와 같은 챗봇이 최고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아무도 이를 모른다면 진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일까 의문이다"라며 "낙태를 넘어 피임 등 다양한 정보를 알려주는 챗봇을 원한다"라고 했다.
Copyright ⓒ AI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