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현지에서는 적재된 목재가 발효되면서 발생한 수증기였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7일 아사히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해당 소각설비에서는 이달 22일 오전 3시께 화재경보기가 작동했고, 오전 5시 30분께는 설비 내부가 수증기로 가득 찼다.
소방 당국은 수증기 발생을 막기 위해 25일까지 소각설비에 1225톤(t)의 물을 뿌렸으나 지난 26일 아침에도 수증기가 남아 있는 것이 확인됐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목재가 ‘발효’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며 조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도 알려졌다.
후쿠시마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 측은 “목재를 자른 조각은 퇴적해 두면 안에서 발효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木材を切ったチップは、堆積しておくと、中で発酵が起きる場合がある)”며 “그 발효로 인한 발열로 수분이 수증기화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방 당국도 소각설비에서 화재가 일어난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이번 사태로 인한 주변 방사선량에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계속해서 자세한 원인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한편, 도쿄전력은 28일부터 17일간 오염수 7800t을 원전 앞바다에 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전력이 그동안 3차에 걸친 방류를 통해 처분한 오염수는 약 2만3351t이며 4차까지 총 3만1200t의 오염수를 처분할 예정이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