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산업기술원과 공동 개발
이물질·수분 함량, 잔류 알칼리 등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과 페트(pet)병 재생원료 품질관리에 필요한 ‘페트병 플레이크 품질 시험방법’ 국가표준(KS)을 개발해 29일 제정·고시한다.
이번 국가표준 시험방법은 폐페트병으로 섬유 등 고품질 재활용품을 생산할 때 배출, 세척, 생산 등 재활용 과정에서 엄격하고 일관된 품질관리를 위해 마련했다.
국립환경과학원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내 재활용 체계에서 점검·관리해야 할 품질 항목과 시장에서 원하는 재활용품 품질 수준을 맞추기 위해 국내 재활용 체계와 현황을 고려한 품질 시험 항목과 방법을 국가표준으로 공동 개발했다.
국가표준에는 폐페트병으로 재활용품을 제조할 때 필요한 페트병 플레이크 이물질 함량, 수분함량, 잔류 알칼리도 등 품질 특성(9개)을 평가하는 내용을 담았다.
일관된 품질관리를 위한 폐페트병 압축품(베일, bale) 품질등급 평가방법과 페트병 플레이크를 재생원료로 사용한 시트나 섬유 제품과 같은 재활용품을 제조할 때 사용 적합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도 함께 제시한다.
전태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장은 “이번에 제정하는 국가표준을 활용하면 페트병 플레이크 생산 기업과 이를 재생원료로 재활용품을 제조하는 기업 간에 일관된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표준이 폐플라스틱 고부가가치 자원화 촉진에 이바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권오현 "비겁한 국회 벗어나야…절박함 가진 삶의 정치 필요" [4류 정치 청산 - 연속 인터뷰]
- 16강 한일전 피한 일본 반응 "놀랍지만 일단 다행"
- 박수홍 친형, 징역 7년 구형받자 강력 반발…"가족 기업이라 법인카드 사용해도 되는 줄 알았다"
- 배현진 피습에 안철수 자성 "민주주의 퇴보가 모두를 망가뜨려"
- 국민 52% '한동훈 잘하고 있다'…'이재명 잘한다'는 35%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