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원, 페트병 재생원료 품질 평가·관리하는 국가표준 개발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환경과학원, 페트병 재생원료 품질 평가·관리하는 국가표준 개발

데일리안 2024-01-28 12:01:00 신고

3줄요약

환경산업기술원과 공동 개발

이물질·수분 함량, 잔류 알칼리 등

분리배출한 투명페트병을 별도 수거하는 모습.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과 페트(pet)병 재생원료 품질관리에 필요한 ‘페트병 플레이크 품질 시험방법’ 국가표준(KS)을 개발해 29일 제정·고시한다.

이번 국가표준 시험방법은 폐페트병으로 섬유 등 고품질 재활용품을 생산할 때 배출, 세척, 생산 등 재활용 과정에서 엄격하고 일관된 품질관리를 위해 마련했다.

국립환경과학원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국내 재활용 체계에서 점검·관리해야 할 품질 항목과 시장에서 원하는 재활용품 품질 수준을 맞추기 위해 국내 재활용 체계와 현황을 고려한 품질 시험 항목과 방법을 국가표준으로 공동 개발했다.

국가표준에는 폐페트병으로 재활용품을 제조할 때 필요한 페트병 플레이크 이물질 함량, 수분함량, 잔류 알칼리도 등 품질 특성(9개)을 평가하는 내용을 담았다.

일관된 품질관리를 위한 폐페트병 압축품(베일, bale) 품질등급 평가방법과 페트병 플레이크를 재생원료로 사용한 시트나 섬유 제품과 같은 재활용품을 제조할 때 사용 적합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도 함께 제시한다.

전태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장은 “이번에 제정하는 국가표준을 활용하면 페트병 플레이크 생산 기업과 이를 재생원료로 재활용품을 제조하는 기업 간에 일관된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당 표준이 폐플라스틱 고부가가치 자원화 촉진에 이바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