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체계 순항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과기정통부, 12대 국가전략기술 육성체계 순항

프라임경제 2023-12-22 12:22:56 신고

3줄요약
[프라임경제] 첨단 과학기술과 국제관계의 결합을 의미하는 '기술패권 경쟁'이 가속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반도체·이차전지 공급망을 겨냥한 수출규제는 물론, 최근에는 챗GPT 대두에 따른 신뢰가능 인공지능 규범 정립, 양자·우주와 같은 미래기술 경쟁까지 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술패권 경쟁 대응'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10월 대통령 주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선정한데 이어, 2023년에는 초격차 기술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육성체계 확립에 주안점을 두었다.
 
우선, 기정학(技政學) 구도 속에서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 기술주권 확립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는 공감대 속에서, 일본·미국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국가전략기술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여·야 합의로 제정하여 9월부터 시행했다. 동 특별법은 전략기술의 신속·과감한 임무중심형 연구개발, 분야별 연구·인재양성의 거점이 될 특화연구소·특화연구기관 지정, 전략적 국제협력 등 기술주권을 위한 '종합 패키지'를 담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집중 투자도 본궤도에 올랐다.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12대 분야에는 2024년에도 5조원 이상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중요하고 시급한 국가임무 달성을 목표로 하는 범부처 대규모 연구개발 사업 '국가전략기술 프로젝트' 6건을 선정했다.

또한 기술확보 전략과 차별화해, 기술주권 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핵심기술 식별과 명확한 국가임무·우선순위 설정에 초점을 맞춘 국가 최상위 기술전략 '임무중심 전략로드맵'도 마련했다. 지난 4월부터 분야별 주요 대기업, 연구기관 및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전략기술 특위 및 기술별 전문가 조정위원회를 가동, 패권경쟁과 미래혁신에 초점을 둔 7개 분야 로드맵 수립을 완료했다.

국가전략기술 확보의 시작과 끝인 '핵심 인적자원 확보 전략'도 수립했다. 전략기술의 공통기반을 이룰 석·박사급 인재 확보, 국가연구자정보시스템과 고용보험DB 연계, 연구자 이동경로 분석 등 데이터를 활용한 근거기반 인재정책 강화, 국내 인재의 해외연수(Out-bound)와 해외 인재 유치(In-bound)를 포괄하는 인재교류 생태계 구축 등을 구체화했다.

이외에도 과기정통부는 과거의 추격자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초격차 전략기술 확보'를 목표로, 2024년에는 범부처 프로젝트·전략로드맵 완비는 물론 세계 최고에 도전하는 혁신·도전적 연구개발, 차세대 기술 선점 등 기술패권 경쟁을 주도하는 국가로 발돋움하는데 정책역량을 집중해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