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1월 소매판매 10.1%↑·산업생산 6.6%↑…"경제안정 신호"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中 11월 소매판매 10.1%↑·산업생산 6.6%↑…"경제안정 신호"

연합뉴스 2023-12-15 12:00:26 신고

3줄요약

공식 실업률 5.0% 유지…소비자물가 0.5%·생산자물가 3.0% 하락

중국 노동자들 중국 노동자들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 중국의 11월 소매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10.1%, 산업생산은 6.6% 각각 늘었다고 국가통계국이 15일 밝혔다.

소매판매 증가 폭은 시장 예상치인 12.5%를 밑돌았으나, 산업생산은 예상치 5.6%를 넘었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11월 중국 소매판매는 4조2천505억위안(약 778조원)으로 작년 11월에 비해 10.1%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백화점, 편의점 등 다양한 유형의 소매점 판매 수치로 내수 경기의 가늠자다.

11월 소매판매 증가율은 4월(18.4%), 5월(12.7%)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8월(4.6%)과 9월(5.5%), 10월(7.6%)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1∼11월 소매판매는 총 42조7천945억위안(약 7천835조원)으로 작년 1∼11월과 비교해 7.2% 늘었다.

11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해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고, 10월(4.6%)에 비해 증가 폭이 2.0%포인트 커졌다. 이는 2022년 9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기도 하다.

농촌을 뺀 공장, 도로, 전력망, 부동산 등 자본 투자의 변화를 보여주는 1∼11월 고정자산투자는 총 46조814억위안(약 8천433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이는 10월까지의 고정자산투자 증가 폭과 동일하다. 1∼9월 고정자산투자 증가율이 3.1%였다는 점에서 10∼11월 투자는 다소 부진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11월 중국 실업률은 5.0%로 9월, 10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고 국가통계국은 설명했다. 다만 중국은 이날 발표에도 청년 실업률을 포함한 연령대별 실업률은 공개하지 않았다.

중국의 11월 수출입 규모는 위안화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 늘어난 3조7천4억위안(약 677조원)으로 나타났다. 수출(2조956억위안·약 383조원)은 1.7%, 수입(1조6천48억위안·약 293조원)은 0.6% 증가했다.

11월 중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0.5% 하락했고, 올해 10월과 비교해서도 0.5% 낮아졌다. 11월 생산자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0% 떨어졌고, 올해 10월에 비해선 0.3% 하락했다.

이에 따라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 가능성이 생겼다.

중국 당국은 올해 들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기력이 떨어진 경제의 동력을 살리기 위해 진력하면서 각종 부양책과 유동성 공급에 적극 나서왔다.

이로 인해 8∼9월에는 다소 반등 조짐을 보였으나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소비 부진과 부동산 경기 침체, 제조업 부진 등으로 인해 경제회복 동력이 약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소매판매 증가 폭이 예상치에 미치지 못하기는 했지만 중국이 최근 내놓은 경기부양책이 경제 안정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신호를 추가해줬다"고 평가했다.

xing@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