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 T1 '특명' JDG 골든 로드 막아라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LCK T1 '특명' JDG 골든 로드 막아라

프라임경제 2023-11-10 10:28:18 신고

3줄요약
[프라임경제] SKT T1이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결승 진출 티켓을 놓고 징동 게이밍과 대결을 펼친다. 

라이엇 게임즈는 오는 11일과 12일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에 위치한 사직실내체육관에서 2023 LoL 월드 챔피언십 4강전이 열린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열린 8강전 결과 중국(LPL) 대표인 웨이보 게이밍(WBG), 빌리빌리 게이밍(BLG)과 징동 게이밍(JDG)이 4강에 안착했다. 

LCK 대표로는 T1이 유일하게 4강 티켓을 손에 넣었다. WBG와 BLG가 대결을 펼치기에 중국에서 한 팀은 반드시 결승전에 진출한다. T1과 JDG 경기 결과로 결승전 상대가 정해진다.

한국 유일한 희망으로 떠오른 T1은 JDG 결승 진출을 막아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 라이엇 게임즈 이스포츠

◆T1, JDG '골든 로드' 막을까

한국 유일한 희망으로 떠오른 T1은 JDG 결승 진출을 막아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다. 

JDG는 올해 LPL 스프링과 서머를 모두 제패했고 5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에서도 정상에 오르면서 올해 열린 자국 대회와 국제 대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하면서 '골든 로드'를 눈 앞에 뒀다.

4강에서 JDG를 상대하는 T1은 이번 대회에서 최고의 컨디션을 보여주고 있다. 16강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젠지에게 일격을 당했지만 이후 진행된 경기에서 한 세트도 패하지 않으면서 여섯 세트 연속 승리를 이어가고 있다. 2승1패 상태에서 LPL 2번 시드인 BLG를 2대0으로 제압했고 8강에서 LPL 3번 시드인 리닝 게이밍(LNG)을 3대0으로 완파했다.

T1은 역대 LoL 월드 챔피언십 5전 3선승제 경기에서 LPL 팀을 상대로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는 기록도 갖고 있다.  T1(당시 SK텔레콤 T1)은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한 대회인 2013년 결승전에서 로얄 클럽을 3대0으로 물리치면서 LPL 킬러의 면모를 처음 보여줬다. 2016년, 2017년에도 결승전에 진출한 바 있다. 2022년 미국에서 열린 8강에서도 로얄 네버 기브업을 상대로 3대0 완승을 거둔 T1은 JDG와의 4강전에서도 세트 스코어 3대1로 승리했다. 

이번 대회 8강에서 LNG를 3대0으로 셧아웃시키면서 T1은 LoL 월드 챔피언십 LPL 팀과의 5전제에서 6전 전승 행진을 이어갔다.

징동 게이밍 선수들. ⓒ 라이엇 게임즈 이스포츠

◆'페이커' VS '룰러' 100번 째 만남

T1을 대표하는 선수인 미드 라이너 '페이커' 이상혁과 JDG를 대표하는 선수로 입지를 굳힌 원거리 딜러 '룰러' 박재혁의 만남도 관심을 끌고 있다.

2016년 삼성 갤럭시에 합류하면서 LCK 데뷔전을 치른 박재혁은 그 해 미국에서 열린 LoL 월드 챔피언십에서 결승까지 올라갔고 이상혁이 속한 SK텔레콤 T1과 풀 세트 접전을 치른 끝에 아쉽게 패했다. 2017년 중국에서 열린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에서는 SK텔레콤 T1을 3대0으로 격파하면서 생애 첫 소환사의 컵을 들어 올렸다.

이후 이상혁과 박재혁은 중요한 고비에서 자주 5전제 승부를 치렀다. 2018년 LoL 월드 챔피언십 LCK 대표 선발전에서 젠지 소속으로 출전한 박재혁은 SK텔레콤 T1을 3대2로 제압하면서 이상혁의 LoL 월드 챔피언십 진출을 막아세웠다. 

2021년 LCK 스프링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는 젠지가 3대0으로 T1을 꺾었고 같은 해 서머 플레이오프에서는 T1이 젠지를 3대1로 제압한 이후 2022년 스프링 결승전에서는 또 다시 젠지를 3대1로 잡아냈다. 

2023 LoL 월드 챔피언십 녹아웃 스테이지 진행 상황. ⓒ 라이엇 게임즈 이스포츠

2022년 서머 결승전에서는 박재혁이 속한 젠지가 3대0으로 완승을 거두면서 젠지는 처음으로 LCK 우승을 차지했다. 2023 시즌을 앞두고 JDG로 이적한 박재혁은 5월에 열린 MSI 4라운드에서 이상혁의 T1을 3대2로 제압하면서 결승에 진출, 우승까지 해냈다.

5전제에서만 10번 만난 두 선수의 결과는 6승 4패로 박재혁이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LCK에서 치른 정규 리그 등의 결과까지 포함했을 때에는 세트 기준 99전 56승 43패로 이상혁이 더 많이 이겼다.

오는 12일 T1과 JDG의 5전제 1세트는 두 선수가 100번째 만나는 경기이며 결승전 티켓의 향배를 정하는 중요한 매치업이 될 예정이다.

11일 맞대결을 펼치는 BLG와 WBG의 올해 상대 전적은 BLG가 세 번 만나 모두 승리하면서 완벽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BLG는 올해 LPL 스프링 정규 리그 2월 4일 경기에서 세트 스코어 2대1로 승리했으며 플레이오프 3라운드에서도 3대0으로 승리한 바 있고 서머 정규 리그에서는 6월 24일 만나 2대1로 제압하면서 세 경기 모두 승리했다. 

이기는 팀은 창단 이래 처음으로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에 도전한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