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따라 멋따라] "비행기 좌석 젖히지 마세요" 태블릿 보기 어려워서?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길따라 멋따라] "비행기 좌석 젖히지 마세요" 태블릿 보기 어려워서?

연합뉴스 2023-10-28 11:00:02 신고

(서울=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뒷자리 승객이 좌석을 젖히지 말라며 툭툭 치는 바람에 언성을 높였는데 알고 보니 태블릿 때문이었어요"

최근 싱가포르로 향하던 한 항공기 내에서 승객 사이에 가벼운 실랑이가 있었다.

처음에는 단순한 좌석 젖히는 문제로 싸움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가만 살펴보니 뒤 승객의 태블릿이 눈에 띄었다.

앞 사람이 좌석을 젖히면 각도가 좁아져 태블릿을 통해 미리 내려받아 온 동영상을 보기가 불편해서였다.

팬데믹이 끝나면서 해외여행 붐이 일고 있다.

최근 국내 고속버스 좌석 갈등이 논쟁거리가 됐으나 비행기 내 좌석 갈등도 가끔 발생한다.

각 여행 동호회에서 마찰을 겪었다는 글도 심심찮게 올라오고 있다.

항공권에는 좌석을 젖히는 권리까지 포함돼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지만, 뒷좌석 승객들은 심심찮게 젖히지 말아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과연 승객의 권리는 어디까지일까.

여행 전문가들과 각 항공사에 물어봤다.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이용하는 뒷좌석 승객이 앞좌석 승객에게 좌석을 젖히지 말아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사진/성연재 기자]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이용하는 뒷좌석 승객이 앞좌석 승객에게 좌석을 젖히지 말아달라고 요청하는 경우가 가끔 발생한다. [사진/성연재 기자]

◇ 임택 여행작가 = "젖히는 것은 당연한 권리다. 다만 경고등이 뜨거나 식사를 하는 등 승무원들이 요구(비행기 이착륙 시)할 때는 바로 세워야 한다. 특히 장거리의 경우 반드시 젖혀야 피곤을 덜 수 있다."

◇ '여행에 미치다' 이준모 프로젝트 매니저 = "당연히 젖힐 수 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는 배려의 문제인 것 같으며 갑자기 앞사람이 젖히면 노트북이 파손되는 사례도 있을 것 같다."

◇ 대한항공 관계자 = 특별히 좌석 젖히는 문제로 리포트가 올라온 경우는 없었다. 요즘 버스에서 논란이 된 뉴스를 봤다."

◇ 캐세이 항공 관계자 = "식사 등을 위해 기내 조명이 들어올 때를 제외한 취침 모드에서는 좌석을 젖히는 것이 자율이다."

◇ 말레이시아항공 관계자 = "반 정도까지 젖히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싶다. 모니터를 보는데 너무 방해되거나 하지 않을 정도가 좋을 듯하다."

◇ 싱가포르 항공 관계자 = "개인이 자유롭게 버튼을 조작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식사 시간과 이착륙 시간에는 좌석을 세워야 한다. 간혹 앞 좌석에서 젖히는 것을 불편해하는 승객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항공사가 이처럼 좌석을 젖히는 문제에 대해 특별한 규정이 없고 승객 자율에 맡기고 있다.

앞뒤 간격이 좁은 저가 항공(LCC)이나 풀 서비스 캐리어(FSC)도 대동소이하다.

싱가포르항공 관계자는 "앞좌석이 젖혀지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낀다면, 조금 비용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면서 "앞좌석의 방해를 받지 않도록 비상구 좌석 등 유료 좌석을 구매할 수 있다"고 말했다.

polpori@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