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자연 방사성 물질 실태조사 공개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개인 소유 관정을 대상으로 2022년도에 실시한 자연 방사성 물질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자연 방사성 물질 실태조사는 개인 지하수 관정을 통해 취수하는 먹는 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2021년부터 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2년 개인 지하수 관정(음용) 4415개를 대상으로 자연 방사성 물질인 우라늄과 라돈 농도를 조사했다. 우라늄은 64개(1.4%), 라돈은 614개(13.9%)의 관정에서 각각 먹는 물 수질 기준과 수질 감시 항목 기준을 초과했다.
2021년에는 7036개 개인 지하수 관정을 조사해 우라늄 148개(2.1%), 라돈 1561개(22.2%)가 기준을 초과했다.
우라늄은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수질 기준 30㎍/L 미만으로, 라돈은 ‘먹는물 수질감시항목 운영 등에 관한 고시’에 따라 감시기준 148Bq/L로 각각 정하고 있다.
우라늄은 바위나 토양 등 환경 전반에 분포하는 광물질이다. 라돈은 공기, 물, 토양 등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성 기체다. 우리나라 지질은 화강암과 변성암이 70% 이상을 차지해 우라늄과 라돈이 일부 지역에서 높게 검출될 수 있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라돈과 우라늄 기준이 초과한 개인 관정 소유자들에게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통보했다. 안내문을 보내 직접 음용 자제, 물 끓여 마시기, 일정 기간 방치 후 이용 등 정보를 제공했다.
또한, 담당 지방자치단체에는 개인 관정 이용자를 대상으로 저감 방법 홍보를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상수도나 소규모 수도시설을 확충하는 등 지역별 실정에 맞는 관리 방안을 마련토록 요청했다.
담당 지자체를 통해 일정 기준을 초과한 관정 소유자를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하고, 정수기와 라돈 저감 장치를 지원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그간 국내 지하수 관정의 자연 방사성 물질 실태조사 및 연구 결과, 라돈은 폭기 장치 등을 통해 약 86% 이상, 우라늄은 역삼투압방식 정수장치를 통해 약 97% 이상 저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김고응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대부분 상수도시설 미보급 지역 주민이 개인 관정에서 취수한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고 있다”며 “물 공급 취약계층이 지하수를 안심하고 마실 수 있도록 지속해서 안전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마에 '뿔' 생긴 92세 할머니 "여드름이 갑자기 점점 커지더니…"
- 4세 여아에 '진정제 우유' 먹이고, 정액 주입한 20대男…감형 왜
- "손으로 가슴 만져줘" 알몸박스女 이곳저곳 출몰하더니 결국
- 길거리서 미성년 자매를 강제로…20대 순경, 부모 신고로 결국
- 이선균에게 3억5000만원 뜯어낸 유흥업소 女실장의 형량은? [법조계에 물어보니 259]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