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임리히법의 중요성..." 생밤 먹다가 목에 걸린 여성, 간호사가 '하임리히법'으로 살렸다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하임리히법의 중요성..." 생밤 먹다가 목에 걸린 여성, 간호사가 '하임리히법'으로 살렸다

모두서치 2023-09-30 11:16:11 신고

3줄요약
"하임리히법의 중요성..." 생밤 먹다가 목에 걸린 여성, 간호사가 '하임리히법'으로 살렸다 [ MBC 뉴스 갈무리 ]

 

추석 연휴, 가족과 함께 차분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은 물론이지만, 때로는 의도치 않게 위험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그러한 불의의 사고가 최근 경남 거제시 추모의 집에서 발생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행운의 여신이 함께했다고 말할 수 있다.

주변에 있던 한 간호사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응급조치로 큰 재앙을 피했다.

지난 29일 MBC 뉴스에 따르면, 29일 오후 1시경 50대 A씨는 남편과 함께 거제시 추모의 집을 찾아가 주차장 인근에서 대기 중이었다.

이때 A씨가 차 뒷좌석에서 먹고 있던 생밤 한 알이 목에 걸려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는 위급한 상황에 빠졌다.

남편은 물을 먹여 문제를 해결하려 했으나, 주변에서 이 상황을 목격한 정성길 간호사(24)가 즉시 남편을 제지하고 하임리히법을 적용해 A씨를 구조했다.

"하임리히법의 중요성..." 생밤 먹다가 목에 걸린 여성, 간호사가 '하임리히법'으로 살렸다 [ MBC 뉴스 갈무리 ]

 

정성길 간호사는 현재 경남 통영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에서 근무 중이다.

하임리히법은 질식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흉부에 강한 압력을 주어 이물질을 토해내게 하는 응급조치 기법으로, 이번 사건에서 그 효과를 재확인한 셈이다.

"하임리히법의 중요성..." 생밤 먹다가 목에 걸린 여성, 간호사가 '하임리히법'으로 살렸다 [ MBC 뉴스 갈무리 ]

 

정성길 간호사는 "기도에 이물질이 걸린 경우 물을 주면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고, 심지어는 119를 부르고 심폐소생까지 필요한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음식물이 목에 걸리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상황이며, 하임리히법 같은 응급조치는 평소에 꼭 숙지해야 할 필수 지식이다"라고 덧붙였다.

다행히 이번 사건에서 A씨는 몸에 큰 이상이 없었으며, 정성길 간호사에게 감사의 인사를 여러 번 전했다고 한다.

이러한 사건을 계기로, 일반인들이 응급조치에 대한 지식을 더욱 넓힐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Copyright ⓒ 모두서치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