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안녕 기원하던 '말없는' 탈춤…세계도 인정한 예천청단놀음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마을 안녕 기원하던 '말없는' 탈춤…세계도 인정한 예천청단놀음

연합뉴스 2023-09-29 11:11:00 신고

3줄요약

국립민속박물관·예천박물관, 청단놀음 역사·변화상 다룬 전시 개최

전시장 모습 전시장 모습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북 예천에서는 매년 정월 보름이면 마을을 지켜주는 신에게 제사를 올린 뒤 '청단놀음'을 벌였다.

한 해 동안 무사하기를 빌면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던 탈놀이였다.

정해진 대사나 사설이 없어 '무언의 탈춤' 혹은 '묵언의 탈춤'이라고도 불린 청단놀음은 예천 사람이라면 죽기 전에 한 번은 꼭 봐야 할 볼거리로 여겨졌다.

지난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 중 하나인 예천청단놀음을 다룬 전시가 열리고 있다.

예천 청단놀음 예천 청단놀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민속박물관과 예천박물관이 최근 공개한 기획전 '예천 청단 봤니껴'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청단놀음의 특징과 변화상을 조명한 전시다.

전시는 청단놀음 공연에 사용되는 탈부터 복식, 소품 등 다양한 자료를 아우른다.

청단놀음에는 양반과 사대부, 쪽박광대, 주지광대, 지연광대 등이 등장하는데 1990년대 만들어진 지연광대탈은 곡식에서 돌이나 쭉정이를 골라내는 키로 만든 점이 독특하다.

지연광대탈 지연광대탈

제4마당 지연광대놀음의 지연광대가 쓰는 탈로, 수확한 곡식에서 돌이나 쭉정이 등 이물질을 가려내는 도구인 키로 제작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예천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에서 키로 만든 탈을 사용하는 탈춤은 청단놀음이 유일하다.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계절에 따라 조금씩 모습을 달리한 탈도 눈여겨볼 만하다. 봄과 가을 광대가 입은 자주색 옷, 여름과 겨울 광대가 입은 검은색 옷도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청단놀음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의 과정도 되짚는다.

1981년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사용한 청단놀음 깃발,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연습한 내용을 정리한 기록, 과거 연습 장면을 찍은 사진 등을 볼 수 있다.

주요 전시품 주요 전시품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지연광대의 옷, 주지판, 청단놀음기, 청단놀음 연습 노트 [국립민속박물관·예천청단놀음보존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해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이후 받은 보호 협약서도 함께 전시된다.

전시에서는 청단놀음의 전통을 잇기 위해 노력해온 보존회 회원들의 노력을 다양한 사진 자료, 인터뷰 영상으로 소개한다.

박물관 관계자는 "과거에 머물러 있지 않고 변화를 모색하며 청단놀음의 전통과 미래를 지속해서 고민하고 이어 온 예천 사람들의 이야기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올해 12월 31일까지 예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볼 수 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보호 협약서

[예천청단놀음보존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