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부터 침수차량 진위여부 확인 가능…금융공공데이터 개방 3년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11월부터 침수차량 진위여부 확인 가능…금융공공데이터 개방 3년

이데일리 2023-07-18 12:00:00 신고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금융공공데이터를 개방한 지난 3년 동안 경기와 기업동향을 파악하는 데 데이터를 가장 많이 활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API (금융공공데이터) 활용신청 수는 1만5620건, 데이터 조회 수는 1억7103만건이다.

API 활용신청 수는 주식시세정보(14.7%), 기업기본정보(8.4%), 기업재무정보(6.7%) 순으로 많았다. 특히 최근 1년(2022년7월~올해 6월) 주식시세정보 활용신청 수는 1710건으로 직전 1년(441건)에 비해 크게 늘었다.

금융공공데이터 조회 수는 기업재무정보(44.1%), 주식권리일정정보(11.8%), 차입투자정보(9%) 순으로 많았다. 최근 1년간 기업재무정보 조회 수는 감소(58.8→43.5%)하고, 주식권리일정 정보의 조회 수는 크게 증가(1.9%→16.2%)했다.

금융위가 지난 5월 금융공공데이터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벌인 결과 금융데이터 이용목적은 경기·기업 동향파악이 34.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영업·마케팅(16.0%), 기업평가(14.7%), 창업·앱개발(12.0%), 연구·논문(11.3%), 정책참고(8.7%) 등의 순이었다.

금융공공데이터에 대한 만족도는 84.7%로 나타났다. 만족한 이유는 데이터 사용 무료(36.5%), 다양한 데이터 보유(25.0%), 편리한 사용(21.0%), 높은 활용도(16.9%) 순이었다.

금융위는 금융공공데이터 개방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침수차량 진위확인 서비스, 대차거래정보, 보험가입정보 등을 대상으로 오는 11월 말 개방을 목표로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침수차량 진위확인 서비스는 차량번호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침수내역을 확인할 수 있어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금융위는 기대하고 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