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내 괴롭힘 신고했더니…28% "불리한 처우 당해"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직장내 괴롭힘 신고했더니…28% "불리한 처우 당해"

연합뉴스 2023-07-16 12:00:02 신고

3줄요약

직장갑질119 "권리구제 14.5% 불과…'노동약자' 법으로 보호해야"

직장내괴롭힘 (CG) 직장내괴롭힘 (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미령 기자 = "8년 동안 괴롭힘 피해로 24개월 휴직 후 복직했습니다. 이를 이유로 저를 조롱하고 폭언하는 동료가 있어 신고했지만 내부 조사에서 불인정 받고 노동부에 진정해 일부 인정 받았습니다. 추가 증거로 다시 진정했으나 민원 중복으로 행정 종결한다고 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한 직장인 10명 중 3명은 신고했다는 이유로 불리한 처우를 당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지난달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28.6%가 이같이 답했다고 16일 밝혔다.

신고자 3명 중 2명(64.3%)은 신고 이후 조사·조치 의무가 지켜지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직장갑질119가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실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19년 7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근로기준법 제76조·갑질금지법) 시행 이후 지난달까지 고용노동부에 신고된 직장 내 괴롭힘 2만8천731건 중 권리구제가 이뤄진 사건은 전체의 14.5%(4천168건)에 불과했다.

권리구제 방식은 ▲ 개선 지도(3천254건) ▲ 검찰 송치(513건) ▲ 과태료 부과(401건) 등이었다.

중복 유형을 포함한 전체 신고 3만7천321건 가운데 폭언이 43.2%(1만2천418건)로 가장 많았고 따돌림·험담 10.7%(4천9건), 차별 3.3%(1천246건) 등이 뒤를 이었다.

직장갑질119는 "갑질금지법이 시행된 지 4년 됐지만 노동부 신고 사건의 85.5%는 방치되고 있다"며 "이면에는 5인 미만 사업장과 하청 노동자 등 사각지대 '노동 약자'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현실이 있다"고 지적했다.

설문조사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 10명 중 3명이 사용자(24.3%) 또는 그 친인척(3.9%)에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답했다.

한 제보자는 "회사 워크숍에서 대표의 친족에게 일방적으로 협박과 폭행을 당했지만 오히려 '분란을 일으켜 회사에 피해를 줬다'며 징계받고 가해자와 합의를 강요당했다"며 "진정을 했지만 근로감독관은 '개인 간 갈등'으로 사건을 종결 처리했다"고 말했다.

직장갑질119 관계자는 "고용노동부는 특별근로감독을 적극적으로 하고 국회와 정부는 근로기준법을 전면 적용해 노동 약자 보호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already@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