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스 첫 성적표 공개, 대형사‧중소형사 희비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킥스 첫 성적표 공개, 대형사‧중소형사 희비

아이뉴스24 2023-07-09 12:00:01 신고

3줄요약

[아이뉴스24 최석범 기자] 보험회사의 올해 1분기 신지급여력제도(K-ICS‧킥스) 성적표가 엇갈렸다. 대형사는 금융감독원 권고치인 150%를 웃돌았지만, 중소형사는 이 기준에 근접하거나 밑돌았다.

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대형 보험사는 모두 금감원의 킥스 권고치를 넘었다. 생보사는 삼성생명이 219.5%, 한화생명 181.2%, 교보생명 232.3%였다. 손보사는 삼성화재가 275.2%, 현대해상 178.6%, DB손해보험 210.5%, KB손해보험 194%, 메리츠화재 202.2% 순이었다.

1분기 신지급여력제도 현황 [사진=각 보험사]

중소형사 중에서는 MG손해보험이 82.5%로 금감원 권고치를 충족하지 못한 것은 물론 보험업법이 정한 기준인 100%도 밑돌았다. 중소 생보사 중에서도 KDB생명 101.6%, 푸본현대생명 128%로 기준에 미달했다. 세 회사는 경과조치(유예 조치)를 신청한 곳이다.

킥스는 올해 도입된 보험사의 새로운 건전성 지표다. 종전의 지급여력(RBC) 제도의 대안으로 만들어졌다. 종전 RBC가 일부 자산과 부채를 원가 평가했다면 킥스는 모든 자산과 부채를 시가 평가한다.

세 보험사의 킥스 비율이 낮은 이유는 자본 확충 부족 탓이다. 킥스는 지급여력 기준금액(요구자본) 대비 지급여력 금액(가용자본) 수준을 뜻한다. 킥스 비율을 높이려면 가용자본 규모를 늘려야 한다.

문제는 킥스가 금감원 권고치를 넘어 100% 아래로 떨어지면 금융당국의 관리를 받는다는 점이다. 경영개선 권고, 경영개선 요구, 경영개선명령 등 시정조치가 이뤄진다. 이후에는 개선이 안 되면 부실 금융기관으로 지정된다.

킥스 비율이 권고치를 밑돈 푸본현대생명은 지난 3월 이사회를 열고 3천925억원 유상증자안을 의결했다. 푸본현대생명은 다음 달 예정대로 유상증자를 진행하면 킥스 비율이 금감원 권고치를 웃돈다. 푸본현대생명은 애초 계획보다 한 달 당겨 8월 말께 증자하기로 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일부 보험사는 금리 민감도가 높은 상품구성 등으로 인해 킥스 비율이 낮게 기록되고 있다"며 "보험사에 자본관리 능력은 중요한 요소인 만큼 킥스 비율이 낮은 보험사는 채권발행 등 지속적인 자본확충으로 자본 건전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