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17 아시안컵 결승에서 맞붙은 한국과 일본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은 일본에 0-3으로 패하며 대회 준우승을 차지했다. 그런데 경기 이후 국내 네티즌들은 명백한 편파판정이 한일전을 지배했다며 비판 목소리를 냈다. 일부 네티즌은 심판(주심) 매수라는 심각한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지난 2일(한국 시각) 태국 빠툼타니 스타디움에서는 '2023 AFC U-17 아시안컵' 결승이 열렸다. 이날 경기는 양 팀 대등한 상태에서 치러지지 못했다. 전반 44분 수비수 고종현이 퇴장을 당하면서 한국은 일본에 수적인 열세를 갖고 경기를 치렀다. 고종현이 당시 일본 선수 공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평범한 어깨싸움이 벌어졌다. 경기 중에 언제든 나올 수 있는 가벼운 몸싸움이었다. 그러나 주심은 바로 경고를 꺼내 들었고 앞서 경고를 하나 받았었던 고종현은 경고 누적으로 바로 퇴장했다.
더 심각한 문제는 고종현 퇴장 직후 이어진 프리킥 상황에서 나왔다. 갑작스러운 선수 퇴장에 그라운드는 어수선했고 일본은 이 프리킥을 곧바로 선제골로 연결시켰다. 해당 프리킥 장면에 국내 네티즌들은 크게 분노하며 편파판정을 외쳤다. 주심이 지정한 프리킥 위치가 고종현이 파울을 범한 위치보다 훨씬 더 골문쪽으로 당겨졌기 때문이다. 이는 의심할 여지없는 오판이 맞았다. 프리킥 위치 지정이 잘못된 것은 중계 카메라에도 적나라하게 잡혀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했다.
석연치 않은 주심 판정은 후반에도 계속됐다. 결정적인 장면은 후반 38분에 나왔다. 공격수 김명준이 페널티 박스 안에서 드리블 돌파와 함께 슈팅을 하려고 했지만 골키퍼 손에 걸려 그대로 넘어졌다. 하지만 주심의 페널티킥 선언은 없었다. 경기는 그냥 이어졌다. 경기 내내 이어진 편파판정에 변성환 대표팀 감독은 결국 폭발하며 심판에 강한 항의를 표했다. 그러자 주심은 변 감독에게 곧장 옐로카드를 꺼냈다.
이날 한일전 주심은 태국 국적 몽콜차이 페치스리 심판이 봤다. 이번 아시안컵 12명 주심 중 한 명인 그는 이번 대회에서 일본이 치른 6경기 중 4경기에 출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3경기는 주심으로, 1경기는 대기심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