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유경 기자] 6.25 전쟁 73주년인 25일 윤석열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가 전쟁에 참전한 호국영령을 추모하며 강력한 안보 의지를 다졌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을 통해 “오늘은 6‧25전쟁이 발발한 지 73년이 되는 날이다. 73년 전 오늘,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참전을 결정했다. 미군 178만 명을 포함해 유엔군 195만 명이 우리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한걸음에 달려왔다”고 적었다.
윤 대통령은 “3년여간 이어진 전쟁에서 62만 명의 국군과 13만 명의 미군을 포함한 15만 명의 유엔군이 전사, 실종, 부상 등의 피해를 입었다”며 “우리는 참전 용사들과 그 가족들이 흘린 피와 눈물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자유 대한민국을 있게 한 영웅들의 피 묻은 군복의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강력한 힘만이 진정한 평화를 보장한다. 공산 세력의 침략에 온몸으로 맞서 싸워 자유를 지켜낸 영웅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자유 대한민국을 더욱 굳건히 수호하고 세계시민의 자유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이날 오전 서울 중구 장충체육관에서는 6·25전쟁 제73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국민의힘에서는 김기현 대표와 윤재옥 원내대표, 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대표, 정의당에서는 배진교 원내대표가 참석했다.
국민의힘 “숭고한 희생에 경의…굳건한 안보만이 국가 지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당당한 승리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자유, 평화, 민주를 더 확실하게 다지겠다”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김 대표는 “73년 전 오늘, 소련과 중국의 전폭적 지원 아래 북한 공산군이 우리 대한민국을 기습 침략했던 새벽을 반추해본다”며 “북한의 전쟁 도발을 사전예측해 대비하지 못한 탓으로 우리 국민들이 겪어야만 했던 그 혼란과 참상은 두고두고 결코 잊어서는 안 될 아픈 교훈”이라고 했다.
이어 “기밀 해제된 구소련의 문서들과 국내외 학자들의 객관적 연구 결과, 그리고 전쟁을 몸소 겪으셨던 우리 선배세대들의 증언과 기록을 종합하면 북한과 소련이 6.25 전쟁의 패륜적 도발자였던 사실은 너무나 명백하다”며 “그럼에도 6.25 전쟁의 기원을 두고, 아직도 철없게도 북한과 소련에게 도발 책임이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부인하는 세력이 있다”고 했다.
김 대표는 “다시는 그런 가짜뉴스에 현혹됨이 없이, 한미동맹을 비롯한 자유진영 동맹국들과의 연대를 통해 이 나라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평화를 든든하게 지켜나가겠다”며 “그것이 전후 70년 동안 세계사의 '가장 위대한 기적'을 일구어낸 선배세대의 헌신과 희생에 보답하는 길이라고 확신한다”고 했다.
아울러 “저와 우리 국민의힘은, 자유와 민주를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아끼지 않으신 호국용사들과 유엔군 용사들께 무한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바치며, 당당한 승리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자유와 평화, 민주를 더 확실하게 다지겠다”고 했다.
강민국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과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함께 싸워주신 22개국 유엔군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에 경의와 애도를 표한다”며 “끊이지 않는 북한의 도발로 한반도의 평화가 또다시 위협받는 상황에, 튼튼한 국방력과 굳건한 안보만이 국가를 지킬 수 있다는 사실을 겸허히 되새기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자유의 연대를 공유하고 희생을 통해 굳건히 맺어진 참전국들과 함께, 모든 참전용사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유해 발굴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며 “전쟁의 참화 속에서도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영웅들에 대해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적절한 예우를 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 토대 위에 살아가는 남은 자들의 도리일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호국영령·참전용사의 고귀한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트위터에 “수많은 무명용사들께서 남겨준 뼈아픈 교훈은 이 땅에 두 번 다시 전쟁은 없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강한 국방력과 국익 중심의 전략적 자율외교로 평화를 지켜내는 것이 진정한 호국보훈”이라고 적었다.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6.25 전쟁 발발 73주년을 맞아 평화의 가치를 되새긴다”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6.25 전쟁 발발 73주년을 맞아 호국영령과 참전용사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에 경의를 표한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73년이 되었지만 끔찍한 동족상잔의 비극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오히려 서로를 겨눈 총칼만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며 “다시는 이런 비극이 재발하지 않도록 튼튼한 국방 태세를 갖추어야 합니다. 한반도의 긴장 완화를 위한 남북의 대화도 계속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평화는 결코 선택의 문제일 수 없다. 평화는 우리 민족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반드시 적대와 대치를 끝내고 전쟁을 종식해야 한다”며 “북한은 지금 고립을 자초하고 있다. 미사일 발사 등 도발을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했다.
박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 또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는 데 동조하고 있다”며 ‘“북한과의 대화를 비롯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남북 관계를 관리하기를 바란다”며 “더불어민주당은 호국영령과 참전용사의 정신을 선양하고, 튼튼한 안보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더욱 힘쓰겠다”고 했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