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가 올해 임단협에서 큰 폭의 임금인상안을 제시하기로 한데 이어 모든 정년 퇴직자에게 2년마다 신차 25%를 할인해 달라는 요구를 내걸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20일자 조선일보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25년 이상 장기근속한 정년 퇴직자에게 적용되는 신차 25% 할인(매 2년 1회)제도를 이같이 확대 적용해 달라고 임단협 요구안에 담은 것으로 확인됐다.
노조는 퇴직자들 헌신에 대한 예우 차원이라고 했다.
신차를 25% 할인하게 되면 차 값은 원가를 밑돌게 된다.
결국 그 손실은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
현대차에선 매년 2500명 가량이 정년퇴직한다고 한다.
노조 요구대로라면 퇴직자들은 5000만원짜리 차량을 2년마다 3600만원(재직자·퇴직자 현금 할인 3% 포함)에 살 수 있다.
현대차의 매출원가율(매출에서 원가가 차지하는 비율)이 82%가량임을 고려하면 차량 원가(4100만원)보다 500만원 싸게 차를 사는 셈이다.
현대차 노조는 또 만 60세인 정년을 만 64세로 연장하고, ‘40년 이상 근무자’에겐 금 48.75g을 지급하라는 퇴직자 우대 요구안을 내놨다.
노조는 회사가 사상 최대 실적과 함께 글로벌 자동차 판매 3위에 오르자 이같은 과도한 요구까지 하고 나선 것이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퇴직자와 장기 근속자에 대한 복지 확대를 노조가 요구하고 나선 데는 현대차의 현 인력 구조와 무관하지 않다.
현대차 근로자 중 50세 이상은 3만2000여명으로 전체 인력의 44%에 달한다.
반면 30세 미만은 7500여명으로 10%에 불과하다.
이처럼 50대 이상이 절대적 다수를 차지하다 보니 전 직원의 이해관계를 다루는 단협안에 '퇴직 후 복지 챙기기 이슈'가 핵심 의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젊은 직원들은 노조의 이같은 방침에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퇴직자에 대한 복지 요구가 임단협 쟁점이 되는 것 자체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앞서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 요구안에서 기본급 18만 4900원 인상과 순이익 30%를 성과급으로 지급할 것, 각종 수당 인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별도 요구안에는 결혼 휴가를 5일에서 10일로 늘리는 방안도 있다.
이밖에 조합원이 전기차 등을 구매하면 차량가 할인을 20%에서 30%로 늘리자는 내용과 무료 제공되는 점심과 저녁을 먹지 않은 경우는 보상해줘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