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의 국내 토지·주택 보유통계를 31일 공표했다. 정부는 그동안 외국인 보유 토지 통계는 매년 발표했지만 외국인 주택소유 통계는 국정과제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공개했다.
외국인 8만1626명이 소유한 주택은 모두 8만3512가구로 전체 주택(1895만가구·가격공시 기준)의 약 0.4% 수준이다. 국적별로 중국인이 4만4889가구로 전체 외국인의 53.8%를 차지했다. 이어 ▲미국(1만9923가구·23.8%) ▲캐나다(5810가구·6.95%) ▲대만(3271가구·3.91%) ▲호주(1740가구·2.08%)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소유 주택은 수도권(6만1498가구·73.6%)에 집중됐다. 지방은 2만2014가구(26.4%)로 나타났다. 시도별로 ▲경기 3만1582가구(37.8%) ▲서울 2만1882가구(26.2%) ▲인천 8034가구(9.6%) ▲충남 4518가구(5.4%) 순이었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부천 4202가구(5.0%) ▲경기 안산 단원 2549가구(3.1%) ▲경기 평택 2345가구(2.8%) ▲경기 시흥 2341가구(2.8%) 순이었으며 서울은 강남구(2281가구)가 가장 많았다.
주택 유형별로는 공동주택이 7만5959가구로 가장 많았다. 이 중 아파트는 5만135가구, 연립·다세대주택은 2만5824가구였다. 단독주택은 7553가구로 집계됐다. 1가구 소유자가 7만6334명(93.5%)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2가구 4121명(5.0%) 3가구 이상 1171명(1.4%)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021년 말 대비 1.8%(460만㎡) 증가한 2만6401㎡로 전체 국토 면적의 0.26% 수준이었다. 외국인 보유 토지 공시지가는 32조8867억원으로 1년 전 대비 2.6% 증가했다.
국적별로 미국이 2021년 말 대비 2.2%(304만9000㎡) 늘어 외국인 전체 보유면적의 53.4%(1억4095만3000㎡)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7.9%·2066만3000㎡) ▲유럽(7.2%·1903만㎡) ▲일본(6.3%·1671만5000㎡)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 경기도 땅이 18.4%(4861만8000㎡)로 전국 외국인 보유면적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전남 14.8%(3915만8000㎡) ▲경북 14.0%(3689만7000㎡)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1.2%(3181㎡)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외국인의 토지·주택 보유통계와 거래신고 정보를 연계해 이상거래를 조사하는 등 향후에도 엄격하게 외국인이 부동산 투기거래를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