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머니=홍민정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발 호재에 삼성전자가 14개월 만에 ‘7만전자’의 명성을 되찾았다. SK하이닉스는 외국인 역대 최대 순매수에 힘입어 장중 11만 원까지 폭등했다.
26일 삼성전자는 전날보다 1500원(2.18%) 오른 7만 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3월 29일 이후 14개월 만이다. 삼성전자의 상승세에 SK하이닉스도 합류했다. SK하이닉스는 5.51% 오른 10만 9200원에 마감하며 이틀 연속 5% 넘게 급등했다.
외국인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1조 원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5392억 원, SK하이닉스를 4397억 원 사들이면서 두 종목만 9789억 원 순매수했다.
외국인의 SK하이닉스 순매수 규모는 역대 최대이며, 현재 국내 반도체에 외국인들의 매수세가 매우 강한 상황이다.
삼성전자가 7만전자로 돌아서자, 600만 삼성전자 동학개미들의 기대감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2021년 이후 삼성전자 매물대를 분석한 결과 현재 주가 밑에서 형성된 매물은 51%였다. 현재 삼성전자 주주들의 절반 이상이 '빨간불'이다. 수익권인 셈이다.
7만전자의 명성을 되찾은 데는 엔비디아가 불러일으킨 인공지능(AI)발 메모리반도체 훈풍도 큰 역할을 한다.
여기에 삼성전자 등 주요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의 감산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도 주주들에게는 호재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3월 이후 개인용컴퓨터(PC) 고객 및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반도체 주문이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상승세를 달리자, 증권사들도 목표 주가를 높이고 있다. 하이투자증권은 국내 증권사 중 가장 높은 목표가인 9만 5000원으로 13.1% 상향했다.
현재 국내 주식은 반도체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 우량주는 상승세를 달리고 있으나, 코스피 상승 폭은 4.12포인트(0.16%)에 그쳤다.
한편, ‘가이던스 서프라이즈’(깜짝 실적 전망치)를 발표해 지난 24일(현지시간) 뉴욕 증시 시간 외 거래에서 27%가량 폭등했던 엔비디아는 이어진 정규장에서도 24.37% 급등 마감했다.
Copyright ⓒ 센머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