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뉴스 김승훈 기자] 여당인 국민의힘이 김남국 의원의 코인 투자를 ‘코인 게이트’로 규정하고 대선자금 세탁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검찰도 고위공직자 뇌물 사건과 대기업 오너 비리 등을 전담 수사하는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가 전담하여 정치자금법 위반, 범죄수익 은닉, 조세포탈 혐의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자금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 의원의 코인 투자가 단순히 개인의 경제적 이익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민주당의 대선 자금과 연관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즉, 코인 투자가 ‘이재명 대선 자금 세탁 목적’이라는 것이다.
김기현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의날' 행사 중 취재진과 만나 '김 의원의 코인 투자금이 이재명 대표의 대선 때 쓰인 자금이라는 주장이 나온다'는 질문을 받고 "금융정보분석원(FIU) 같은 경우도 그 점에 주목해서 의심 거래라고 통보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기적으로 보면 그런 의심을 할 수 있는 소지가 충분히 있다"고 답했다.
윤재옥 원내대표도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대형 거래소에서 굳이 코인을 꺼내 복잡한 과정을 거쳐 개인 지갑으로 옮기고 자금 출처를 소명하지 못한 것에 부정한 정치자금이나 자금세탁의 가능성까지 제기하고 있다"며 "이 사건이 의원 개인의 코인 거래 중독문제를 넘어 중대한 비리 커넥션 문제는 아닌지 짚어보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
또, “(김 의원에 대해선) 이미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 불법 로비 의혹이 한 차례 제기된 바 있는데, 조각난 퍼즐이 하나씩 알려질수록 의혹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빠른 수사를 통해 철저히 그 전모를 밝히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하태경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 의원의 클레이페이는 자금세탁이 목적이라고 단정적으로 언급했다.
하 의원은 "의원실에 들어온 제보에 따르면 코인판에 자금세탁을 전문으로 하는 주가조작 세력이 많이 들어왔고 클레이페이가 그 중 하나라는 것"이라며 "김남국 의원은 36억 위믹스를 쓰레기에 불과한 클레이페이로 교환한다. 그럼 세력들은 위믹스를 거래소에서 현금화하고 일정한 수수료(제보에 따르면 20%)를 제하고 김남국 의원에게 현금으로 돌려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겉으로는 막대한 투자실패로 보이지만 현실은 자금세탁이 된 30억의 현금을 손에 쥐는 것"이라며 "그리고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들은 2달 뒤 세상에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그쪽 세계에선 이러한 과정을 은어로 '설거지'라고 한다"고 전했다.
하 의원은 김 의원이 위믹스 36억원어치만 급하게 현금화한 배경에 새로운 의혹도 제기했다. 그는 “애당초 김 의원의 돈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있다”며 “당시는 대선 기간”이라고 강조하면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그는 "자금세탁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김남국 의원이 교환했다는 위믹스의 현금화 경로와 클레이페이를 만든 세력을 추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19일 주간동아 보도에 따르면 김남국 의원에 대한 수사는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이준동 부장검사)가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고위공직자 뇌물 사건과 대기업 오너 비리 등을 전담 수사하는 반부패수사부 역할을 맡고 있는 형사 6부에 배정된 만큼 검찰이 가볍게 처리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검찰은 지난 15일과 16일 빗썸, 업비트 등 암호화폐 거래소와 카카오의 블록체인 계열사를 압수수색했다. 검찰 압수수색 영장에는 정치자금법 위반, 범죄수익 은닉, 조세포탈 혐의가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검찰은 코인 투자금 출처와 자금흐름을 집중적으로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또, 관련 업계로부터 입법 로비를 받았는지 여부도 수사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