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신문 = 배두열 기자] 기아가 국내 카 헤일링(차량 호출) 시장의 전동화 및 맞춤화 트렌드 확산에 앞장서고 2030년까지 글로벌 PBV(Purpose Built Vehicle) No.1 브랜드로 자리잡겠다는 계획에 속도를 내기 위해 카카오모빌리티와 손을 맞잡았다.
기아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카헤일링(차량 호출) 전용 PBV 및 연계 플랫폼 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지난 11일 양재동 기아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송호성 기아 사장과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를 비롯해,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권혁호 부사장과 eLCV비즈니스사업부장 김상대 전무, 카카오모빌리티 사업부문 총괄 안규진 부사장, 미래이동연구소장 장성욱 부사장 등 양사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고객들을 위한 맞춤형 이동 솔루션을 개발함으로써, 국내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친환경 카헤일링 표준모델을 수립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헤일링 전용 PBV 개발부터 차량 운행 데이터ㆍ상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와 연동되는 새로운 특화 서비스 개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헤일링 전용 PBV 개발을 위한 특화사양 관련 요구사항을 제안하고, 기아는 이를 반영해 2025년 출시 예정인 중형급 전용 PBV 모델을 활용, 최적화된 차량을 개발 및 공급할 예정이다.
또 양사는 차별화된 차량 연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차량 운행 데이터ㆍ상태 데이터 확보 및 연동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VI)와 카카오 T 앱, 내비 등 모바일 서비스의 원활한 연동에도 상호 협조한다.
기아와 카카오모빌리티는 신규 특화 서비스의 개발 완료 후 철저한 실증 과정을 거쳐 2025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국내 모빌리티 서비스 생태계의 혁신을 이끄는 것은 물론, 서비스 고도화 과정에서 습득한 역량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향후 충전·주차 등 차량 데이터 연동 기반 파생 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교통약자 서비스, 물류, 렌터카 등으로 사업 영역을 다각화하고, 글로벌 사업 진출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기아 관계자는 “이번 카카오모빌리티와의 협력을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에서 혁신을 도모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사들과 협업하며 ‘맞춤형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AP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