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택배서비스 사업자 총 20개 업체 및 우체국 소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서비스 평가의 결과가 발표됐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2022년도 택배/소포 서비스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평가는 종사자 및 소비자의 권익 보호와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지난 2014년부터 매년 실시해온 조사로, 올해는 일반국민이 주로 이용하는 일반택배 업체 13개와 기업들이 주로 이용하는 기업택배 업체 10개로 구분해 한국능률협회플러스가 평가자료 수집·전문 평가단·고객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등을 통해 진행했다.
평가 항목은 서비스 과정품질과 결과품질 등 2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과정품질 영역에서는 고객(고객사)의 신뢰도, 응대의 친절성 및 적극성 등을 보았다. 결과품질 영역에서는 배송의 신속성 및 안전성과 종사자 보호, 코로나-19 등 감염병 예방 수준 등을 평가했다.
먼저 일반택배 분야 중 C2C(개인 → 개인) 부문은 ‘우체국 소포’가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CJ 대한통운’·‘한진택배’·‘롯데 글로벌로지스’가 그 뒤를 이어 높은 점수를 받았다.
B2C(기업 → 개인) 부문에서는 ‘CJ 대한통운’·‘우체국 소포’·‘한진택배’가 제일 높은 등급을 받았으며, ‘롯데 글로벌로지스’가 그 뒤를 이었다. 마지막으로 기업택배 분야(B2B)에서는 ‘용마택배’가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동진택배’와 ‘합동택배’가 뒤이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평가 항목별로 살펴보면 국내 택배 서비스는 배송의 신속성(일반택배 94.0점·기업택배 91.8점), 소비자 및 고객사 피해 처리기간(일반택배 94.3점·기업택배 96.4점), 화물 사고율(일반택배 98.1점·기업택배 97.5점) 등에서 평균 점수가 높았으나, 고객 요구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적극 지원성(일반택배 71.8점·기업택배 78.9점), 배송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직영차량 확보비율(일반택배 49.1점·기업택배 57.9점) 등의 항목은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일반택배의 경우에 작년에 다소 저평가되었던 종사자 보호수준이 개선(80.2점→85.4점)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택배에서도 고객사의 신뢰도 평가점수가 전년 대비 향상(76.5점→81.7점)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일반택배 기사 처우에 대한 만족도 수준은 작년에 비해 소폭 하락(79.6점→78.2점)했고, 기업택배 분야도 홈페이지 구축과 화물추적 시스템 수준 등 인프라 부문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택배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는 5개 업체(CJ·롯데·한진·로젠·우체국)와 나머지 택배사들 간의 평균점수 차이는 감소 추세로, 일정 수준 서비스 평준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토교통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택배업계와 공유하고, 미흡한 점에 대해서는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소비자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