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년 만에 용산공원 개방...토양 오염 문제 여전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120년 만에 용산공원 개방...토양 오염 문제 여전

폴리뉴스 2023-05-05 14:35:28 신고

용산 어린이정원 개방행사 입장하는 윤 대통령 부부.[사진=연합뉴스 제공]
용산 어린이정원 개방행사 입장하는 윤 대통령 부부.[사진=연합뉴스 제공]

[폴리뉴스 김재학 기자] 용산 미군기지 부지에 조성된 ‘용산어린이정원’이 개방되자 야당과 환경단체들은 토양오염을 정화하지 않은 채 서둘러 공원을 조성해 안전 문제가 우려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5일 정부와 정치계에 따르면 지난 4일 용산 어린이정원은 주한미군 기지로 활용되던 부지를 반환받아 정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정비한 후 120여년 만에 처음으로 개방했다. 개방행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어린이들과 손을 맞잡고 함께 입장했다. 

하지만 어린이정원 관련 안전 문제 우려에 야당과 환경단체들이 반발했다.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용산어린이정원 개방과 관련해 “놀랍고 황당하다”며 “지난해에는 오염 위험 때문에 ‘2시간만 지내라’는 조건으로 개방한 지역을 포함한 곳에 15cm 흙을 덮어 다시 개방한다. 안전한지 아닌지 윤석열 대통령에게 묻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장은 “안전하지 않다면 국민과 어린이에 위해를 가하는 것이다.안전하다면 오염 정화 비용을 미군과 협상하는 게 미제로 남았는데, 뭘 근거로 미국 측에 (비용을) 요구하겠냐”며 "자료를 정부에서 공개하지 않는 것을 보면, 안전하지 않은 것은 명백해 보인다. 국민 안전을 놓고 볼 때나 국익을 놓고 볼 때나 굉장히 잘못된 것”이라고 덧붙혔다.

김병주 민주당 의원도 “오염 토양 정화 과정 없이 흙 덮고 꽃 심어 어린이를 초대한다는 건 어린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실 졸속 이전도 모자라 졸속 토양오염 정화를 통해 아이들 건강을 담보로 정치쇼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도 반환된 부지가 각종 발암·독성물질로 범벅돼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녹색연합과 온전한생태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용산시민회의는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는 이미 수년 전 조사를 통해 해당 부지들이 토양환경보전법상 공원이 들어설 수 없을 만큼 심각하게 오염되어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며 "토양정화는커녕 겉만 번지르르하게 흙을 덮고 잔디와 꽃으로 식재를 한들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은 전혀 보호받을 수 없다. 어린이정원 개방을 멈추고 토양을 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는 실내·외 환경 모니터링 등을 시행했으며, 모두 환경 기준치보다 낮거나 주변 지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안전성을 여러 차례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환경 모니터링을 시행해 안전성을 유지해 나갈 계획이다.

Copyright ⓒ 폴리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