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CJ대한통운(000120)이 지난 2013년 CJ그룹과 통합한 이후 10년 만에 매출액 3배, 영업이익 6배라는 성장세를 구현했다. 10년 동안 주력사업도 '하역·육상운송→택배→CBE·글로벌'로 진화하며 산업혁신과 유통혁명의 변화를 뒷받침했다.
오는 2030년 창립 100주년을 앞둔 CJ대한통운은 월드 클래스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물류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CJ대한통운은 2013년 4월 CJ그룹 물류계열사와 합병해 통합 법인으로 새로운 출발을 시작한지 10년을 맞았다. 대한통운은 법정관리 중이던 2008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됐지만 2011년 말 CJ그룹으로 대주주가 다시 한 번 바뀌게 됐고, 2013년 4월에는 그룹 내 물류계열사였던 GLS와 합병했다.
CJ그룹 합류 이후 CJ대한통운은 매출은 2013년 3조7000억원에서 2022년 12조1000억원으로 무려 8조원 이상 늘었고, 영업이익도 641억원에서 4118억원으로 3500억원 가량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0년 동안 매해 최대실적 기록을 경신했다.
사업구조와 인력구성도 크게 바뀌었다. 주력사업이었던 계약물류(CL) 부문은 2013년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했지만 지난해 비중은 4분의 1로 줄었다. 대신 28%였던 글로벌 부문 매출 비중은 42%로 늘었다.
ⓒ CJ대한통운
2013년 5억 상자였던 연간 택배취급량은 지난해 17억 상자로 증가하면서 CJ대한통운의 10년 도약을 주도했다. 직원수는 8400명에서 2만명으로 늘었고, 해외 법인에서 채용 현지인 직원도 2900명에서 1만3700명으로 증가해 글로벌 물류기업이라는 점을 뒷받침했다.
CJ대한통운 10년 도약 배경에는 대한통운 인수 당시부터 물류를 그룹의 신성장동력으로 삼겠다는 CJ그룹의 강한 의지가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6년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 착공이다.
당시 곤지암 메가허브는 하루 170만 박스를 처리하는 웬만한 경쟁사의 하루 처리량을 상회하는 규모였음에도 업계에서는 CJ그룹은 4000억원이 넘는 규모를 투자했다. 곤지암 메가허브 투자 이후 택배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했고, 2~3%에 불과했던 택배부문 영업이익률도 지난해 4.8%까지 높아졌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곤지암 메가허브를 비롯해 자동분류시스템인 휠소터 도입 등으로 경쟁사 대비 기술격차가 3~5년 이상 벌어졌다"며 "초격차 역량과 수익성을 기반으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J그룹은 대한통운 통합 직후부터 글로벌 공급망(SCM)에도 주목하며 글로벌 인수합병(M&A)을 통해 덩치를 키워 나갔다. 2013년 중국을 시작으로 △미국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세계 각지의 우량 물류기업들을 인수했다. 10년 전 17개국 35개였던 글로벌 거점은 현재 35개국 112개로 확장됐다.
글로벌 매출도 1조705억원에서 5조612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미국의 경우 10년 전 매출은 987억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1조2628억원으로 13배 가까이 늘었다.
2015년 인수했던 중국 로킨을 2021년 초 되파는 부침도 있었지만 이후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과 국경폐쇄로 인해 결과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로킨을 재매각하며 얻은 1400억원대 차익은 신규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 확장의 토대가 됐다.
CJ대한통운은 "10년의 도약을 통해 CJ대한통운은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알려진 물류산업을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혁신했다"며 "2020년 확대 개편된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는 로봇과 AI,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국내 최고 수준의 첨단기술 개발과 상용화 주역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2022년 대중에 공개된 군포 스마트 풀필먼트센터는 AGV와 디지털트윈, 박스추천 시스템 등 첨단 무인화 기술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한 현장이다"라고 첨언했다.
지난 10년간 성장을 이어온 CJ대한통운은 오는 2030년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또 다른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택배 통합브랜드 '오네' 기반 라스트마일 시장 지배력 강화를 비롯해 △화주-차주 직접연결 플랫폼 '더운반' 확대 △100조원 규모 초국경택배 시장 공략 △신성장국가 중심 글로벌 전략 등을 기반으로 초격차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동력 육성에 속도를 더하기로 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통합 이후 10년 동안 국내 1위를 넘어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의 기반을 구축해왔다"며 "창립 100주년인 2030년까지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로의 도약을 본격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프라임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