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 "SW·반도체 기반 차별화 플랫폼 제공할 것"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 "SW·반도체 기반 차별화 플랫폼 제공할 것"

브릿지경제 2023-04-28 11:43:11 신고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이 27일(현지 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 44회 비엔나 모터 심포지엄’에서 강연하고 있다.(사진 제공=현대모비스)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이 국제 심포지엄에 참석해 ‘모빌리티 플랫폼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을 구체화했다.

현대모비스는 조 사장이 지난 2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제44회 비엔나 모터 심포지엄’에 참가해 ‘현대차그룹 미래 모빌리티 비전과 현대모비스의 전략적 역할’을 주제로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비엔나 모터 심포지엄은 자동차 분야에서 국제적 권위를 인정받는 연례 학술대회다. 올해 대회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거대한 물결인 ‘전동화 전환’이 핵심 주제다. 25개 국가에서 1000여명의 완성차 및 부품사, 학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조 사장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현대차그룹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 비전을 소개하고 그룹 전략과 연계한 현대모비스의 대응 전략을 소개했다.

조 사장은 “우수한 품질의 소프트웨어(SW)와 최적의 반도체를 기반으로 전동화, 자율주행, 커넥티비티(연결성) 분야에서 현대모비스만의 차별화된 플랫폼을 고객에게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성장 사업에 대한 의지도 밝혔다. 현대모비스가 이미 확보한 배터리시스템 등 전동화 요소 기술을 도심항공모빌리티(UAM)와 로보틱스 등 신사업 추진에 활용하는 방안이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 탑재되는 배터리시스템(BSA)과 구동시스템, 통합충전시스템(ICCU) 등을 양산·공급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이같은 전동화 핵심 기술을 신성장 사업 영역으로 확장하는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조 사장은 “모빌리티 기술의 진보는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은 물론, 나이 들거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의 운전 부담을 덜거나 이동 간 불편을 해소하는 등 결국 인간 삶의 질을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조 사장의 이 같은 미래 기술 비전은 올해 CES에서도 공개된 바 있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CES에서 미래 목적 기반 차량(PBV) 콘셉트 모델 ‘엠비전 TO’를 공개했다. 엠비전 TO는 전동화 기반 자율주행 차량으로 운전 부담 없이 이동의 자유도를 늘릴 수 있다. 장애인의 휠체어 탑승이나 화물 운송 등 사용자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에는 조 사장을 비롯해 토마스 슈몰 폭스바겐그룹 부품부문 최고경영자(CEO)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스테판 하르퉁 보쉬 회장, 크리스토프 스타진스키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개발 담당 부사장 등이 주요 강연자로 참석했다.

김태준 기자 tjkim@viva100.com

Copyright ⓒ 브릿지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