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 '소통'(communication)하고 있다고 언급하면서 북미 대화 재개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우리 정부가 리더십 부재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및 방위비 분담금 압박 대응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북미 대화까지 본격화하면 '한국 패싱' 우려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일단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 지도부에 누군가의 중재가 필요하지 않는다고 확신한다"며 "북한과 미국에는 여러 가지 소통 채널이 있다"고 선을 그었지만, 북미가 초기 소통을 진행하는 과정에 러시아가 상호 입장을 전달하는 매개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뉴스픽의 주요 문장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연합뉴스” 기사 내용을 3줄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일부 누락된 내용이 있어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본문 전체 읽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