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소장은 "국내 산불진화대 1만1천여명 중 95%가 재정 일자리 사업으로 운영돼 고령화 되어 있고 심지어 90대까지 산불 진화에 투입되기도 한다"며 "진화대는 산불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많이 동원되는 인력인데, 연령층이 높아 실제 투입이 가능한 수준은 1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황 소장은 "2017년 강릉·삼척·상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이후 국가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했다고 알렸지만 2년 뒤에는 고성 산불이, 그로부터 1년 뒤에는 안동 산불이, 2022년에는 역사상 가장 큰 울진 산불이 났다"며 "많은 예산을 투입하면서도 산불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시계는 거꾸로 돌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번 산불 진화의 열쇠는 '효율적인 인력배치'에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뉴스픽의 주요 문장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연합뉴스” 기사 내용을 3줄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일부 누락된 내용이 있어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본문 전체 읽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