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서비스나 드라마·영화·가요 등 K 콘텐츠 관련 부문에서는 흑자였지만, 연구·개발(R&D) 등에서 대규모 적자를 피하지 못했다.
이들 가운데 정보·통신(+27억6천만달러)과 문화·여가(+8억7천만달러) 서비스에서는 흑자를 냈지만, 지식재산권 사용료(-33억4천만달러)와 전문·사업(-75억5천만달러) 서비스의 적자를 메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문화·여가 서비스의 경우 멀티미디어 제작, 공연·전시 관련 수지가 각 4억9천만달러, 3억4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뉴스픽의 주요 문장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연합뉴스” 기사 내용을 3줄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일부 누락된 내용이 있어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본문 전체 읽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