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4일 발표한 ‘기후변화 리스크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탄소가격 정책에 의한 전환 리스크의 영향은 2050년 전후에 확대됐다가 이후 점차 축소되지만, 기후피해에 의한 물리적 리스크의 영향은 정책대응이 없거나 늦은 경우 2100년에 다가가면서 크게 확대되는 것으로 추정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연 대응은 2030년까지 기후대응 정책을 도입하지 않다가 그 이후부터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2℃ 이내로 억제하는 경우다.
1.5℃ 대응의 경우 탄소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기후변화 영향이 전혀 없는 기준시나리오에 비해 2050년경 GDP가 13.1% 감소하지만, 이후 친환경 기술발전과 기후피해 완화 등에 힘입어 2100년경 10.2%(연 평균 0.14%포인트) 감소로 그 폭이 줄어든다.
뉴스픽의 주요 문장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이데일리” 기사 내용을 3줄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일부 누락된 내용이 있어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본문 전체 읽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