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이태원 참사나 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 사회적 재난의 반복과 그에 대한 부실하고 무책임한 대응의 연속 역시 심판을 초래한 주요 원인 가운데 하나임이 분명하다.
재난참사피해자연대 등이 총선 논평에서 밝혔듯이, "윤석열 정부 지난 2년은 세월호 참사 이후 생명과 안전을 우리 사회의 가장 중요한 의제로 삼아야 한다고 했던 사회적 합의를 거스르는 시간"이었다고 규정될 수 있다.(☞ 바로 가기 : 4.16연대 ' '생명안전 국회 만들기' 더 이상 미룰 수 없다_22대국회는생명안전위한국회되어야 ') 이태원 참사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게 그 상징적 사건이라 할 것이다.
낮은 생명가격표가 붙은 사회적 약자들일수록 더 위험한 환경과 조건에 내몰릴 수밖에 없는데, "안전은 그것에 합당한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뉴스픽의 주요 문장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프레시안” 기사 내용을 3줄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일부 누락된 내용이 있어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본문 전체 읽기를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