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피모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시장 전망에 낙관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제이피모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시장 전망에 낙관

경향게임스 2025-04-01 05:22:10 신고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Yield-bearing Stablecoin)’ 자산 시장 점유율이 현재 6% 규모에서 50%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화 등 법정화폐 또는 금(金)과 같은 특정자산의 가치를 일대일로 추종하는 가상화폐다.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은 금융사가 출시한 스테이블코인 성격의 ‘토큰화 펀드’를 보유하면 예금과 유사하게 이자 수익을 제공하는 스테이블코인의 한 종류다. 
 

제이피모건 제이피모건

미국 투자은행인 제이피모건(J.P.Morgan) 분석진은 자체 보고서를 통해 지난 2024년 11월부터 두드러진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자산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현지 증권당국의 규제 완화를 동력삼아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생태계가 영역을 넓힐 것이라는 관측이다. 
지난 2024년 11월 40억 달러(한화 약 5조 8,988억 원) 규모였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상위 5개 종목 시가 총액은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급격히 증가하며 1분기 말 130억 달러(한화 약 19조 1,711억 원) 규모까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주요 발행사로는 에테나(USDe), 스카이달러(USDS), 블랙록(BUIDL), 유주얼프로토콜(USD0), 온도파이낸스(USDY)가 소개됐다. 
분석진은 지난 2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대출 플랫폼인 피겨(Figure)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승인한 점에 주목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피겨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을 ‘증권(Security)’으로 해석하고 출시를 승인했다. 피겨 최고경영자 역시 자사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이 주식 및 채권과 동일한 금융 범주에 속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제이피모건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Yield-bearing Stablecoin)’ 자산 시장 점유율이 현재 6% 규모에서 50%까지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사진=제이피모건) 제이피모건이 스테이블코인 시장 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Yield-bearing Stablecoin)’ 자산 시장 점유율이 현재 6% 규모에서 50%까지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사진=제이피모건)

제이피모건 분석진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피겨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출시 승인이 시장에 탄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분석진은 투자자들의 안전 선호 심리가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부문의 빠른 성장을 이끌고 있다고 알렸다.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보유자는 자신의 자산을 위허한 거래 또는 대출 활동에 위임하지 않아도 수익을 거둘 수 있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는 진단이다. 
데리비트(Deribit) 등 주요 가상화폐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이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의 근간이 되는 ‘토큰화 펀드’를 자사 담보로 인정한 것도 생태게 성장에 일조한 것으로 파악됐다. 블록체인 기반 금융(DeFi, 디파이) 수익률 위축이 시장 관심을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으로 돌렸다는 의견도 나왔다. 
제이피모건은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은 향후 가상화폐 파생상품 거래, 탈중앙화자율조직(DAO, 블록체인 커뮤니티), 가상화폐 창업투자회사 유휴 담보금 등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생태계가 기존 스테이블코인 시장 자금을 상당 부분 흡수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지난 2024년 11월 40억 달러(한화 약 5조 8,988억 원) 규모였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상위 5개 종목 시가 총액(껌정색 선)은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급격히 증가하며 1분기 말 130억 달러(한화 약 19조 1,711억 원) 규모까지 커졌다(사진=제이피모건) 지난 2024년 11월 40억 달러(한화 약 5조 8,988억 원) 규모였던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상위 5개 종목 시가 총액(껌정색 선)은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급격히 증가하며 1분기 말 130억 달러(한화 약 19조 1,711억 원) 규모까지 커졌다(사진=제이피모건)

한편 분석진은 ‘수익형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해결과제로 ‘개인 투자자 확보’를 꼽았다. ‘수익형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의해 ‘증권’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규제 적용 사항이 일반 스테이블코인보다 많아 개인 투자자 고객 확보가 숙제로 남을 수 있다는 관점이다.  
스테이블코인 최대 시가총액 보유 자산인 테더는 4월 1일 오전 현재 빗썸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0.20% 하락한 1,486원에 거래되고 있다.

Copyright ⓒ 경향게임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