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용두용미(龍頭龍尾)’ 결말을 보여주며 종영해 난리 난 드라마가 있다.
바로 2025년 상반기 최대 화제작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에 대한 이야기다.
'폭싹 속았수다’는 지난 28일 마지막 에피소드(13~16화)를 공개하며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이 드라마는 제주도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주인공 애순(아이유, 문소리)과 관식(박보검, 박해준)의 인생 여정을 사계절에 걸쳐 담아내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했다. 특히 마지막 회차가 공개된 이후, 이 작품은 ‘처음과 끝이 완벽한 용두용미 드라마’라는 찬사를 받으며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마지막 에피소드 역시 눈물과 감독, 재미를 주며 극은 흘러 갔다. 애순과 관식, 금명과 은명 식구들이 천당과 지옥을 오가며 저마다의 인생을 살았다. 결말 부분에서는 관식이 세상을 떠나기 전, 애순과의 약속을 지키는 모습이 그려져 많은 시청자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시청자들은 '폭싹 속았수다'가 억지스러운 감정 과잉 없이도 삶의 진정성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내렸다. 제주의 방언과 풍경은 단순한 배경 이상의 역할을 하며, 등장인물들의 감정을 생생히 전달했다. 특히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와 진심 어린 표현이 극찬받았다.
또한 드라마는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 간 갈등과 화해, 가족 간의 사랑 등을 현실적으로 그려내며 많은 공감을 얻었다. 특히 관식이 딸 금명에게 처음으로 분노를 터뜨리는 장면이나, 애순이 어린 시절 좁은 부엌에서 꿈꾸던 순간들이 회상되는 장면 등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겼다.
'폭싹 속았수다'는 휴머니즘 성장 드라마로서 인생의 희로애락을 모두 담아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사계절 구성을 통해 주인공들의 삶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결국 이 드라마는 삶의 끝에서 다시 봄으로 이어질 수 있는 희망을 제시하며 마무리됐다. '폭싹 속았수다'는 단순히 재미를 넘어 삶의 의미와 가치를 되새기게 만드는 작품으로 영원히 기억될 듯 하다.
한편 '용두용미(龍頭龍尾)'라는 표현은 작품 시작부터 끝까지 일관되게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콘텐츠를 뜻한다. 이는 용 머리처럼 강렬하게 시작해, 용 꼬리처럼 웅장하게 끝나는 것을 의미한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