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기 놀이’를 해 본 적이 있는가? 자치기는 한 자쯤 되는 긴 막대기로 한 치쯤 되는 짧은 막대기를 쳐서 멀리 보내는 놀이이다.
자세한 놀이 규칙은 찾아 보기 바란다. 뱁새 김용준 프로도 어릴 때 동네 아이들과 이 놀이를 했다. ‘자치기 놀이를 고대에 천재가 만든 것은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해 본 적이 있다. 길이를 재는 ‘자’는 지역마다 눈금이 조금씩 달랐다. 똑같은 ‘한 자’라고 해도 어느 곳에서는 한 뼘 남짓 되고 어느 곳에서는 30㎝도 넘는 식으로 말이다. 기준이 다르면 무슨 일이든 제대로 하기가 고약하다. 그래서 기준을 통일해야 했을 것이다. 역사책에도 나오지 않는가? 강력한 지배자의 업적을 꼽을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도량형을 통일하는 것이다.
새 기준을 공표하더라도 실제로 널리 쓰기까지는 한참 걸린다. 익숙한 습관을 쉽게 버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을 꿰뚫어 본 천재가 꾀를 냈다고 상상해 보자. 새로 정한 길이 단위인 ‘자’와 ‘치’를 퍼뜨릴 방법으로 ‘놀이’를 만들었다면? ‘자’와 ‘치’를 잔뜩 만들어 아이들에게 나누어 주었다면? 그것이 ‘자치기 놀이’라면? 고개를 끄덕였다면 총명한 독자이다. 놀이와 함께 ‘자’와 ‘치’는 빠르게 삶에 녹아 들었을 것이다.
골프 칼럼에서 느닷없이 소설 같은 이야기를 늘어놓느냐고? 첫 골프 규칙을 만든 지 수 백 년이 흐른 지금 골프 세상은 과연 동일한 ‘자’와 '치'를 쓰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어서이다.
몇 주 전이다. TV 골프 채널에서 한국여자프로골프투어(KLPGA투어)를 보았다. 이틀째 경기였다. 낯설지 않은 이름이 선두를 달리고 있었다. 아마추어 때 우승 턱밑까지 갔으나 골프 세상이 들이댄 엄격한 잣대에 막혀 우승을 놓친 그 선수였다.
전에 어떤 일이 있었느냐고? 무명 선수가 어프로치를 하는 동안 캐디를 맡은 아버지가 캐디백을 선수 가까이에 눕혀 놓았다. 캐디백은 공교롭게도 선수가 정렬한 라인과 제법 평행을 이루고 누웠다. 선수가 우승을 했다고 기뻐하며 스코어카드를 내려는 순간 경기위원장이 이 부분을 문제 삼았다. 캐디가 장비를 내려 놓아 선수가 정렬을 하는데 부당하게 도움을 주었다고 판정한 것이다.
선수는 울음을 터뜨렸다. 캐디 노릇을 한 아버지는 당혹감과 좌절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 때 그 선수는 열 여섯 살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선수는 2벌타를 받고 순위가 내려갔다. 2등이라고 생각한 선수가 얼떨결에 우승컵을 차지했다. 우승을 놓친 그 어린 선수는 어차피 우승을 해도 우승 상금을 받을 수도 없었다. 아마추어이니까. 우승자에게 주는 특전도 놓치고 뼈아파했다. 규칙을 가혹하게 적용했다는 비판도 많았지만 KLPGA 경기위원회는 그 판정을 번복하지 않았다.
뱁새는 그때 당연히 현장에 있지 않았다. 그래서 그 판정이 옳은지 그른지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래도 한 가지 느낀 것은 있었다. ‘KLPGA는 골프 규칙을 정말 엄격하게 적용하는구나’ 하고 말이다. 아깝게 우승을 놓치고 펑펑 울던 그 어린 선수는 그 일이 있고 나서 몇 년 지나 프로 골퍼가 되었다. 그리고 갈망하던 우승도 두 차례인가 했다. 그런 선수가 오랜만에 이틀 연속 선두를 달리니 뱁새도 예전 사건이 생각났다.
옛날 일과 함께 몇 달 전에 다른 KLPGA투어에서 생긴 일도 겹쳐서 떠올랐다.
이름만 대면 다 아는 선수가 친 공이 홀에 걸쳐 있다가 시간이 꽤 흘러서 홀에 떨어진 사건이다. 골프 규칙은 홀 옆에 멈춘 공이 10초가 지나서 홀에 떨어지면 벌타 한 타를 더하게 정해 놓았다. 물론 퍼팅 하고 나서 공이 있는 곳까지 걸어가는 시간은 빼고 나서 10초이다. 일부러 천천히 걸어가면 되겠다고? 지체하지 말고 공 있는 곳까지 걸어가야 한다고 골프 규칙은 못을 박고 있다.
뱁새가 본 그 상황은 아슬아슬하게 10초가 지났느냐 아니냐 문제가 아니었다. 선수는 아쉬운 탄식을 토한 뒤 조금 지켜 보다가 공 쪽으로 걸어갔다. 그런데 공 가까이 있던 같은 조 다른 선수가 그 선수를 말렸다. 오지 마라고! 아니 저게 뭐 하는 짓이지? 뱁새는 어이가 없었다.
공은 수 십 초나 흐른 뒤에 홀에 떨어졌다. 그 사이 선수들이 별 짓을 다 했지만 그 이야기는 생략한다. 뱁새는 당연히 벌타 한 타를 더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웬걸! 벌타 없이 그대로 끝났다고 했다. 스코어카드를 낼 때 경기위원이 공이 홀에 걸친 것이 아니었다고 판정했다고 한다. 홀에 가까이 가서도 계속 움직여서 홀로 굴러 떨어졌으니 10초 규칙을 적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공이 홀에 걸친 것이 아니면 어떤 것이 홀에 걸친 공이란 말인가? 그 공은 미국여자골프투어(LPGA투어)에서 뛰고 있는 이름 있는 선수 것이었다.
아마추어 무명 시절에 엄격한 아니, 어쩌면 가혹한 잣대를 갖다 대서 우승을 놓쳤던 선수가 오랜만에 선두에 나선 것을 보자 이 ‘홀에 걸친 공 논란’이 겹쳐서 떠올랐다. 잣대는 눈금이 같아야 한다. 아마추어 무명 선수이든 이름이 있는 선수이든. 그것이 스포츠이다.
‘뱁새’ 김용준 프로와 골프에 관해서 뭐든 나누고 싶은 얘기가 있다면 메일을 보내기 바란다. 지메일 ‘ironsmithkim’이다.
김용준 KPGA 프로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