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 옷과 가방이 주는 기쁨 때문에 모른 척 외면하고 싶을 수도 있겠지만, 패션 산업을 이루는 수많은 과정에서 엄청난 자원 낭비와 환경 파괴가 일어난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현재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10%는 패션 산업으로 인해 생긴다. 지금처럼 패션 산업의 성장이 지속된다면 2050년에는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4분의 1을 차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동차 공장이나 에너지 기업 등은 환경오염과 관련해 많은 규제를 받고 있지만, 패션 산업에 대한 규제는 찾아보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 쉽게 만들고 버려지는 패스트 패션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거나, 동물 보호를 위해 모피 사용을 제한하는 움직임이 시작된 것도 불과 몇 년 전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불러온 공포는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금 깨닫게 하는 기폭제로 작용했다. 이제 전 세계 패션과 럭셔리 산업을 주도하는 굴지의 기업들이 친환경 행보를 가속화하기 시작했다. 가치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짐과 더불어 럭셔리 패션 브랜드들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무척 반가운 일이다. 이제 럭셔리 패션 업계는 수익금으로 환경 보호 단체를 후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품의 생산 단계에서부터 적극적인 방식으로 지구 환경 보호에 나서고 있다.
최근 럭셔리 하우스의 움직임 중 가장 눈에 띄는 이슈는 친환경 소재의 개발이다. 지속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브랜드의 퀄리티를 유지하기 위한 불꽃 튀는 경쟁이 시작된 것. 에르메스는 2021 F/W 컬렉션을 통해 순수 균사체를 사용한 지속 가능한 소재 ‘실바니아’로 만든 빅토리아 백을 출시한다. 명실상부 최고급 가죽을 취급해온 브랜드이기에 에르메스의 비건 레더 백 출시 소식은 큰 화제가 됐다. 천연 소재와 바이오 기술의 융합으로 탄생한 신소재 실바니아는 에르메스 전문가의 태닝 및 마감 처리를 거쳐 장인의 작업실에서 가방으로 제작되는 데, 부드러운 감촉과 섬세한 부조, 자연스러운 색을 자랑한다. 브랜드 창립부터 지금까지 단 한 번도 동물의 가죽이나 깃털, 퍼, 동물성 소재를 사용한 적이 없는 대표적 친환경 패션 디자이너 스텔라 매카트니의 도전도 주목할 만하다. 그녀는 최근 곰팡이의 뿌리에서 채취한 균사체로 만든 마일로™ 인공 가죽으로 의상을 제작해 비건 가죽의 미래 가능성을 증명했다. 모든 제품을 친환경 소재로 제작하는 브랜드로 잘 알려진 올버즈는 지난 2월 200만 달러를 투자해 개발한 세계 최초의 100% 자연 식물성 플랜트 레더를 선보였다. 다른 기업도 환경 보호를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스위트폼 기술을 공개한 데 이어, 플랜트 레더 제조 기술까지 오픈 소스로 공개해 더욱 화제가 됐다.
재생 자원을 활용해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브랜드도 많아졌다. 프라다는 브랜드가 사용하는 모든 나일론을 2021년 말까지 재생 나일론 소재인 ‘에코닐’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바다에 버려진 어획용 그물, 폐카펫 등을 재활용해 만든 에코닐 소재는 프라다의 ‘리나일론(Re-Nylon)’ 프로젝트를 통해 가방 및 액세서리에 꾸준히 사용되어왔던 것. 브랜드의 헤리티지와도 같은 아이코닉 소재를 재생 소재로 전면 전환하겠다는 대담한 행보는 패션계 전반에 큰 메시지를 던졌다. 톰 포드가 출시한 해양 플라스틱 재활용 소재의 시계, 버버리의 ‘리버버리 에딧’ 캡슐 컬렉션, 투미의 리사이클링 컬렉션 등 해양 생태계의 시급한 문제인 플라스틱 폐기물의 선순환에 앞장서는 브랜드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업사이클링을 통해 버려지는 소재의 양을 줄이려는 노력도 활발하다. 루이비통은 기존 컬렉션에서 사용하고 남은 소재를 사용해 2021 크루즈 여성 컬렉션과 2021 S/S 남성 컬렉션의 일부를 디자인했다. 남은 실크는 ‘비 마인드풀’ 컬렉션을 통해 다양한 액세서리로 재탄생시켰고, ‘헤리티지 레더’ 프로젝트를 통해 가죽 재활용률을 두 배로 높이기도 했다. 에르메스 역시 남은 가죽, 실크 등의 소재를 브랜드의 노하우로 재탄생시킨 ‘쁘띠아쉬’ 컬렉션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 한편 알렉산더 맥퀸은 컬렉션 제작이 끝난 후 남은 원단을 재활용해 업사이클링 컬렉션을 선보였음은 물론, 영국 전역의 대학교와 교육 기관에서 패션과 섬유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기부한다. 자원 순환에 그치지 않고 창작 교육 지원까지 의미를 확장한 것. 코치는 과거 컬렉션에서 사용한 글러브탠과 가죽 조각을 수작업으로 엮은 업 우븐 레더 소재로 핸드백을 출시했고, 끌로에는 2021 F/W 컬렉션에 선보인 캐시미어의 80%를 재활용했다.
최근에는 고급 시계 제조업계에도 자원의 선순환 방식을 도입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까르띠에는 광전지 방식의 다이얼과 비건 레더 스트랩을 아이코닉 탱크 머스트 워치에 적용했고, 파네라이는 총중량의 98.6%를 재활용 기반 소재로 제작한 섭머저블 eLAB -ID™ 워치를 발표해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
소재의 업사이클링과 리사이클, 비건 레더 개발 등의 움직임은 궁극적으로 재료 가공 과정에서 소비되는 물 사용량을 현저히 줄이고 탄소 배출량 역시 획기적으로 감소시킨다. 또한 자연에서 얻은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섬유는 사용 후 폐기해도 생분해가 용이해 토양 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일상에서 패션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는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신중하게 구입을 결정하고 옷과 액세서리의 사용 주기를 늘리는 것부터 시작해볼 것.
더네이버, 패션, 리사이클
Copyright ⓒ 더 네이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