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장마철 농작물 피해 우려, 사전대비 중요

[경북도] 장마철 농작물 피해 우려, 사전대비 중요

더포스트 2024-06-27 16:36:00 신고

3줄요약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집중호우, 강풍 등으로 인한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의 피해가 우려되니, 철저한 사전대비와 사후관리를 당부했다.

최근 장마 시기의 강우 양상은 좁은 지역에 강한 비가 내리는 경향이 두드러져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욱 철저한 사전 대비가 중요하다.

장마 시기에는 농작물의 경우 생육 불량, 병해충 발생 증가가 예상되고, 비닐하우스 등 농업시설물 파손, 축사 정전, 침수 등의 피해가 예상되므로 사전 예방조치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논의 경우 배수로에 잡초가 많으면 유속이 느려지고 물 빠짐이 잘되지 않으므로 사전에 잡초를 제거해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물에 잠긴 벼는 물을 신속히 뺀 뒤 도열병, 흰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방제를 실시한다.

밭작물은 물 빠짐이 원활하도록 이랑을 높게 하고 비닐하우스는 바깥의 물이 시설 안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하우스 주변에 물길을 만든다. 강풍이 불 때는 비닐하우스를 밀폐하고 끈으로 튼튼히 고정해 골재와비닐을 밀착시켜 피해 예방에 힘써야 한다.

과수는 부러지거나 찢어진 가지를 깨끗하게 잘라낸 후 적용약제를 발라주고, 흙이 씻겨나가 노출된 뿌리에는 흙을 덮어주는 등 유실매몰된 곳을 빨리 정비해야 한다. 또한 쓰러진 나무는 토양이 젖어있는 상태에서 뿌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세우고, 신속히 보조 지주를 설치하도록 한다.

강한 바람과 비에 의해 작물의 잎줄기가 서로 상처를 준 경우에는 상처로 전염되는 병원균 침입이 우려되므로 예방 보호살균제를 살포하며,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나 4종 복합비료 엽면시비가 도움이 된다.

축사는 강풍과 낙뢰 등에 의해 정전피해가 예상되므로 사전에 전기시설 및 비상발전기 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가축의 경우는 식욕저하, 발육부진, 질병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통풍관리 및 축사소독과 차단방역을 철저히 하고 사료는 비에 젖지 않도록 잘 보관해야 한다.

조영숙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장마가 시작되면서 국지성 호우, 우박 등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피해가 우려된다.”라며 “농업현장에서는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사전에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관리요령을 숙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

Copyright ⓒ 더포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