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테무 中 커머스 공습… '세계 5위' 韓 시장 괜찮나

알리·테무 中 커머스 공습… '세계 5위' 韓 시장 괜찮나

머니S 2024-06-18 05:20:00 신고

3줄요약

중국 e커머스 시장이 지난 5년 동안 2배 가량 성장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중국 e커머스 시장이 지난 5년 동안 2배 가량 성장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중국 e커머스(C커머스)가 글로벌 유통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C커머스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지난 5년 동안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이 2배가량 성장했다고 17일 밝혔다.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9000억달러(약 4006조원)에서 지난해 5조8000억달러(약 8013조원)로 2배 늘었다.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14.6%)은 전체 소매업 성장률(4.4%)의 3.3배다.

특히 C커머스의 성장세가 눈에 띈다. 징동닷컴, 알리바바, 핀둬둬(테무 모기업) 등 주요 C커머스의 최근 5년 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연 41.0%로 글로벌 e커머스 시장 성장률(14.6%)보다 2.8배 높다.

지난해 글로벌 e커머스 회사들의 매출 순위는 1위 아마존(미국), 2위 징동닷컴(중국), 3위 알리바바(중국), 4위 핀둬둬(중국), 5위 쿠팡(한국)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 기준 5대 글로벌 e커머스 기업 중 중국 기업이 3개다.

C커머스의 한국 진출과 급성장은 국내 유통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 e커머스 시장은 228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중국(3954조2000억원), 미국(1521조6000억원), 영국(256조3000억원), 일본(252조9000억원)에 이은 세계 5위 규모다.

문제는 C커머스의 비중이 빠르게 늘었다는 점이다. 국내에서 서비스되는 e커머스 플랫폼의 월간 사용자 수는 지난해 1월 기준 쿠팡, 11번가, G마켓, 티몬, 알리익스프레스 순이었으나 지난달에는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11번가, 테무, G마켓 순이었다.

이에 한경협은 중국기업의 국내 유통시장 장악이 우려된다며 ▲규제 중심 유통정책 개선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