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그러면서 ▲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 정의 ▲ 대만 위기 상황시 한국의 군사적 기여 ▲ 대만해협에서의 평화와 안정, 억제력 강화 방안 등을 한미가 다뤄야 할 의제로 제시했다.
이밖에 앤드루 여 석좌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이른바 '패싱'(건너뜀)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난다든지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한다든지 할 경우에는 중국 및 대만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입장에 대해 한국이 덜 지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련 뉴스 주한미군 개념 바뀌나…중국견제·방위비·전작권 복잡성 증대 국방부 "주한미군 역할은 한반도 평화·안정…변함 없다" 美국방 "北 등 억제 역할 대부분 동맹국에…방위비 압박" 지침 "주한미군, 대만 비상 상황시 투입 가능해야…韓, 동의 필요" .
뉴스픽의 주요 문장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연합뉴스” 기사 내용을 3줄로 요약한 결과입니다. 일부 누락된 내용이 있어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본문 전체 읽기를 권장합니다.